Provenance and Metallurgical Study on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익산 미륵사지 출토 동경의 금속학적 연구 및 산지 추정

  • Huh, Il-Kwon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 Cho, Nam-Chul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Hyung-Tae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허일권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 조남철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Published : 2007.03.20

Abstract

By analyz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bronze mirror presumably excavated from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we have surveyed what alloy composition was used in casting the mirror, and also tried to estimate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bronze mirror, through the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 as well as which region$^{\circ}{\emptyset}s$ galena the lead used in the mirror belonged to, by analyzing the ratio of the lead isotope. The content analysis result of bronze mirrors shows that it consists of 68.8 to 73.3wt% of Cu, 21.6 to 24.9wt% of Sn.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Pb of Mireuk 2 and 3 Samples are higher than those of Miruk 4. The observation result of microstructure demonstrates that Mireuk 2 and 3 consist of ${\alpha}$ and ${\alpha}+{\delta}$ eutectoide phase made through casting process. But Mireuk 4 show other process employed, such as quenching though martensite structure. In the analysis result of provenance though the lead isotope ratio, the origin of the used in bronze millers excavated from Mireuksaji temple site is presumed to be from galenas of Japen, like this those, the chemical competition, microstructure, and lead isotope ratio of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Mireuksaji can be utilized at fundamental data to compare mutually with other remains.

호록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동경의 성분을 분석하여 어떠한 배합비로 주조하였는지 또한 금속조직 관찰을통하여 동경의 제작기법을 그리고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여 동경에 쓰인 납이 어느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동경의 성분분석 결과, Cu의 농도는 68.8-73.3wt% Sn의 농도는 21.6-24.9wt%로 나타났으며, Pb의 함량은 시료번호 미륵 2와 3이 미륵 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미세조직은 미륵 2와 3의 경우는 주조조직으로서 ${\alpha}$상과 ${\alpha}+{\delta}$상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미륵 4의 경우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인위적인 열처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납동위원소비를 통한 산지분석결과에서는 동경의 주조시 사용된 납의 경우 일본지역에서 쓰인 방연석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동경의 제작기법 및 교류관계 등을 알아볼 수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