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xity of Productive Activities and Life-Satisfaction of Korea's Older People

노인 생산적 활동의 복합성과 생활만족도

  • 김주현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일본 와세다대 현대한국연구소)
  • Published : 2007.12.25

Abstract

Current discussions on productive aging are going towards the direction to sustain a social productivity and lessen a social burden, and this becomes distinct as it gives a strong value to the activity and independence of older people. This study highlights complex situations of productive activities in the group of older people by analyzing the survey of Among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older people, two areas of activities - paid labor and social support -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bility, spontaneity and family relations. This difference becomes more remarkable in the analysis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In paid work, which is the most common productive activity,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ose who work spontaneously and those who work inevitably to make a living. And in the comparison of life satisfaction for those who participate in homemaking and care working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ituations and family relations, those who were unsatisfied with family relations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현재 각 사회에서 진행되는 생산적 노년 논의가 사회적 생산성을 유지하고 사회적 부담을 해결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은 노인의 활동성과 독립성에의 강한 가치부여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서 노인집단 내부에 나타나는 생산적 활동의 복합적인 양상을 조명한다. 노인의 생산적 활동 중 유급노동활동과 사회지원활동 두 영역에서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경제적 기반과 자발성, 가족과의 관계에 따라 복합적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노인의 생활만족도 분석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연구 결과, 대표적 생산적 활동인 유급노동의 경우 경제적 기반이 양호한 상태이고 참여 동기가 노인의 자율적 선택에 의한 자발적인 활동인 경우에는 생계유지를 위해 불가피하게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과 비교하여 생활만족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또 다른 생산적 활동 영역인 사회지원활동 중 가정일 및 돌봄 활동의 경우, 참여노인의 경제적 상황과 지원대상인 가족과의 관계에 따라 나누어 생활만족도를 비교했을 때 가족관계에 불만족하는 경우에 생활만족도가 눈에 띄게 떨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2. 권인수 (2000)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3. 김영범. 박준식 (2004) '한국노인의 기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169-185
  4. 김익기. 김동배. 모선희. 박경숙. 원영희. 이연숙. 조성남 (1999) <한국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미래인력연구센터
  5. 김정석. 김익기 (2000)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 155-168
  6.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 (1998)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1): 150-169
  7. 김혜선 (2005) '농촌과 도시 지역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저소득층 조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8: 341-378
  8. 박민자. 손문금 (2005) '고령 여성과 남성의 일상생활-'생활시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덕성여대 <사회과학연구> 11: 121-145
  9. 박수미. 선보영. 김진욱 (2005) <한국여성의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0. 옥경희 (1998) '노부모의 역할인지, 역할수행 및 역할수행만족도-농촌노부모 가정을 중시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36(1): 77-93
  11. 이가옥. 우국희. 최성재 (2004) '노인독립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 56(1): 5-22
  12. 이호성 (2005)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 25(3):123-138
  13. 장경섭 (2001) '압축적 근대성과 노인문제의 재인식: '신세대'로서의 노인' <가족과 문화> 13(1): 1-29
  14. 정경희. 석재은. 오영희.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김희경 (2004)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정순둘 (2004) '저소득 노인의 사회적 지원망 특성: 연결고리의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24(0): 7-29
  16. 조병은. 이미숙. 강란혜. Naomi Yatomi. Takiko Maehara (2002) '한국과 일본 취업모 가정의 조모 역할과 조모와 손자녀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1(3): 213-229
  17. 허준수 (2004)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0): 127-151
  18. 홍현방 (2005) '생산활동 수준이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9(2): 203-235
  19. Bass et al. (1993) Achieving a Productive aging society. Westport CT: Auburn House
  20. Butler & Shelter (1995) Productive Aging The Encyclopedia of Aging NY: Springer
  21. Gershuny, J. (2000) Changing Times: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2. Herzog. A. R., et al. (1989) 'Age differences in productive activitie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ervices 44(4): s129-s138 https://doi.org/10.1093/geronj/44.4.S129
  23. Hochschild, Arlie (1989) The Second Shift. Avon Books
  24. Hooyman & Kiyak (1996) Social gerontology MA: Allyn &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