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호 퇴적물에서 영양염류 용출 특성 분석

Sediment Release Rate of Nutrients from Namyang Reservoir

  • 조영철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정세웅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Cho, Young-Cheo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Se-Wo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12.31

초록

퇴적물로부터 용출되는 영양염류가 인공호수인 남양호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퇴적물의 조건을 호기 및 혐기조건으로 설정한 후 영양염류의 용출속도를 측정하였다. 퇴적물로부터 유기물과 질소의 용출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산염 인과 총인의 경우 수체 내 산소조건에 따라 용출 양상이 달랐는데, 혐기조건에서는 인이 용출되지 않은 반면, 호기 조건에서는 많은 양의 인이 용출되었다. 실험 결과를 기초로 호기조건에서 인의 용출 속도를 계산한 결과 인산염 인의 경우 $1.01\sim2.48$ mg-P/$m^2$/day이며, 총인의 경우는 $2.14\sim3.54$ mg-P/$m^2$/day로 나타났다. 상류에서 채집한 퇴적물에서 인의 용출 속도가 가장 빨랐는데, 이는 유입수에 쉽게 분해 가능한 유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남양호의 경우 가장 깊은 하류의 수심이 $7\sim14$ m로 성층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퇴적물 환경이 호기성 상태이다. 본 연구의 결과 남양호 퇴적물 중에 포함된 인이 호기성 상태에서 다량 용출되고 있기 때문에 인의 용출에 의한 수질 오염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predict the effects of nutrient releasing on the water quality of Namyang Reservoir, nutrient releasing rates from sediments in oxic and anoxic conditions were estimated in a small microcosm. Organics and nitrogens were not released. The releasing pattern of inorganic phosphate and total phosphorus was depend on the oxygen concentration. The releasing rate of inorganic phosphate and total phosphorus in oxic condition was $1.01\sim2.48$ and $2.14\sim3.54$ mg-P/$m^2$/day, respectively. It was high in the upstream sediments indicating the particles containing easily degradable organic compounds are flowed into the area. Because the depth of Namyang Reservoir at the downstream adjacent to the Dam is $7\sim14$ m, the condition of most area of sediment surface will be oxic. Based on these results, the appropriate counterplans are required to reduce phosphorus release in oxic conditions to control water pollu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Lee, Y. S , Lee, K. S., 'A study on releas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its impacts on water quality in Daechung Dam Reservoir,' Korean Sci. Environ. Impact Asses ment, 9(2), 99-107(2000)
  2. 김도희, '영양염 용출 측정에 관한 고찰,' 한국환경과학회지, 11(12), 1333 -1337(2002)
  3. Bostrom, B., Jansson, M., and Forsberg, C., 'Phosphorus release from lake sediments,' Arch. Hydrobiol. Beih. Ergebn. Limnol., 18, 5 - 59(1982)
  4. Kairesalo, T , Tuominen, L., Hartikainen, H., and K., 'The role of bacteria in the nutrient exchange between sediment and water in a flower-through system,' 29, 129-144 (1995) https://doi.org/10.1007/BF00167160
  5. Istvanovices, V,. 'Fractional composition, adsorption and release of sediment phosphorus in the Kis-Balaton Reservoir,' Water Res., 28 (3), 717-726 (1994) https://doi.org/10.1016/0043-1354(94)90152-X
  6. Hakanson, L. and Jansson, M,. 'Principles of lake sedimentology,' Springer- Verlag(1983)
  7. 박제철, '부영양호 퇴적층으로부터 용존 유기물의 용출 특성,' Korean J. Limnol., 36(3), 304 - 310(2003)
  8. 한국농촌공사, 흥부지구 강우시 수질조사 및 퇴적물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서(2005)
  9. 한국수자원공사, 댐저수지 퇴적오염물질 분해 및 용출에 관한 연구(2차년도), (2002)
  10. 이요상, '저수지 퇴적물 용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 2005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1149-1152(2005)
  11. 조영철, 강찬수, 김상종, '소양호 적조 수역에서의 인과 미생물 군집의 변화,' 한국미생물학회지, 31(5), 458-464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