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Activities for Scientifically-Gifted in an International Science Compet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Aspects of Creativity - The Case of the 'International Young Physicists' Tournament'

과학 영재의 국제경진대회 활동에서 창의성의 사회적 측면 분석 -국제 청소년 물리 토너먼트 사례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In this paper, the activities for scientifically-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2006 International Young Physicists' Tournament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aspects of creativity. To understand this, the process by which the activities were similar to the system model of creativity developed by Csikszen-tmihalyi were analyzed. Our aim was to elici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operative science problem solving skills and to discuss the results from their social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interacted consistently with peers, teachers, and the culture that was developed during the course of the tournament. This was found to be very similar to the way in which novel knowledge in the system model of creativity is produced. In the tournament, the juries' assessment was based on students'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reviews. This was also very similar to how novel knowledge in the model is selected. Solving problems cooperatively and evaluating the results through group discussion are well reflected the social aspects of creativity. Due to the fact that such tournaments for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tudents are rapidly increasing in popularity, such activities will increasingly become more important.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study the social aspects of creativity for the gift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본 연구에서는 2006년 국제 청소년 물리 토너먼트 대회에 참가한 과학 영재들의 활동을 창의성의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의 체계 모형과 그 활동 과정이 얼마나 유사한지 분석하였다. 과학 학습에서 협동과 토론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사회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영재들이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다른 동료 학생들과 교사는 물론 그 과정에서 형성되는 문화와 지속적 상호 작용을 하였다. 또한 대회에서 심사자가 발표, 반론, 평가의 과정에 근거해 평가하는 것 역시 모형에서 새로운 지식을 평가하는 과정과 유사했다. 학생들이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그 결과를 토론으로 겨루는 형식은 창의성의 사회적 특성을 잘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회가 계속 확산됨에 따라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서 사회적인 측면에서 이를 길러줄 수 있는 기회와 교육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