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뜨꾸뛰르 컬렉션에서 본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2003년 S/S이후 크리스챤 디올을 중심으로-

Make-up Trend in the Haute Couture Collections -Focusing on Christian Dior after 2003 S/S-

  • 박선희 (공주영상대학 코디메이크업과) ;
  • 임영자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Park, Sun-Hee (Dept. of Codi & Make-Up Kongju Communication Arts College) ;
  • Im, Young-Ja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발행 : 2007.01.31

초록

The modern society has been experiencing a cultural quickening that is accompanied by the rapid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changes. In the dim chaos where the future is uncertain, the modern women are gradually discovering the value and meaning of their existences in the society. The fashion and make-up Christian Dior presented in the Haute Couture collections suggest us various genres from which the remarkable creative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canbe fou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techniques used by Christian Dior for the Haute Couture collections after 2003 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make-up trend in the Haute Couture collections suggest that the make-up today is not simply to decorate a face beautifully. The make-up has become a new art form for the modern women to express their various originality and creativity while linking it to the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순 (2000). 세기말에 나타난 메이크업의 경향. 한국미용학회지, 6(3),pp. 527-549
  2. 이지영 (2003). 메이크업을 통한 캣워크 연출에 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4(1), p. 327
  3. 강병덕 (1984). 토달패션으로써의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7
  4. 양진희 (2001) 현대메이크업에 나타난 레트로 경향.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p. 31
  5. 최은지 (2000). 아방가르드 패션을 위한 메이크업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p. 38
  6. 조성화 (2003). 인터넷 패션사이트에 나타난 패션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2
  7. 이지희 (1989). 정보원으로서 패션쇼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16
  8. 김문숙 (1989). 복식디자인. 경춘사,p. 17-20
  9. 한전미 (1988). 패션쇼에 관한 실태분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23
  10. 허준 (1995) . 파리모드200년 유림문화사. p. 5
  11. Mary Ellen Diehl (1985). How to produce a fashion show. New York. p. 11
  12. 이연희 (2002). 패션문화. 예학사, p. 60
  13. 이주현 (2003) 현대패션과 메이크업에 나타난 레트로 경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3
  14. 이복순 (2006). 패션쇼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15. 이주현 (2003). 현대패션과 메이크업에 나타난 레트로 경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16. 장희숙 (1995).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트로 경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17. 김윤 (2003). 현대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에 나타난 키치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40,p. 137
  18. 김영무 역 (1986). 그로테스크, 필립 톰슨저, 서울대학 교 출판부. p. 17
  19. 차제무 (1982). Der Besuch der alten Dame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 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