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ra and Vegetation of Yeondo Islet in Yeosu-si

여수 연도의 식물상과 식생

  • Park, Moon-Su (School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 ;
  • Cho, Kye-Joong (School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
  • 박문수 (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 조계중 (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It was found that vascular plants distributed at Yeondo islet were composed of 107 families, 312 genera, 408 species, 2 subspecies, 51 varieties and 5 forms, totaling 466 taxa. 39 species including Myrica rubra among the 466 taxa were evergreen broad-leaved tree, and as for flora region science-based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was surveyed that 85 taxa(46 families, 70 genera, 80 species and 5 varieties) were distributed by identifying 53 taxa in grade one, 1 taxa in grade two, 26 taxa in grade three, 3 taxa in grade four, and Milletia japonica and Arisaema negishii in grade five. In the naturalized plants, a total of 42 taxa(13 families, 37 genera, 40 species and 2 varieties) were surveyed to be distributed and the ratio of their naturalization and Urbanization Index was analyzed to be 9.01% and 14.63%, respectively. Life form spectra bore a type of H-Dl-R5-e. Vegetation of Yeondo islet are classified as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nd Miscanthus sine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spread on an gently slanted mountain side.

연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7과 312속 408종 2아종 51변종 5품종으로 총 466종류가 확인되었다. 이 중 소귀나무를 포함 39종류가 상록활엽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 등급에 53종류, II 등급에 1종류, III등급에 26종류, IV 등급에 3종류, V 등급에 애기등, 섬천남성 2종류가 확인되어 46과 70속 80종 5변종으로 85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13과 37속 40종 2변종으로 총 42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귀화율은 9.01%, 도시화지수는 14.63%로 분석되었다. 생활형조성은 H-Dl-R5-e type을 보였다. 연도의 식생은 곰솔군락(Pinus thunbergii community)과 구실잣밤나무군락(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이 분포되어 있고, 휴경지와 완경사 산지에 억새군락(Miscanthus sine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이 분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대신기획인쇄, 534쪽
  2. 국립환경과학원(2004) 한국의 외래식물(CD). 국립환경과학원
  3. 기상청(2006) 기후자료. www.kma.go.kr/index.jsp
  4. 김종홍, 박문수(1994) 금오열도의 식생. 한국자연보조협회 조사보고서 32: 111-137
  5. 김종홍, 박문수(2004) 고흥의 자연환경 생태조사 -식물편-. 순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89쪽
  6. 김종홍, 장석모(1983) 오동도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6(3): 208-226
  7. 김철수, 오장근(1990)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II) -금오열도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지 13(4): 343-359
  8. 박문수(2002) 무인도서 전국자연환경조사 -여수- (CD). 환경부
  9. 박문수, 김준관(2003)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여수(08-15)- (CD).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33-46
  10.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371쪽
  11. 박수현(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보유편. 일조각, 178쪽
  12. 변두원(1986) 연도와 안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쪽
  13.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부록):1-33
  14. 이은복, 전의식(1995)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영향조사(I)-귀화식물분야. 국립환경과학원 5-68쪽
  15. 이일구, 김원, 이호준, 윤해순(1973) 돌산도 식물상에 관하여. 한국식물학회지 5(1, 2):23-32
  16. 이창복(2005a) 원색대한식물도감 상권. 향문사, 914쪽
  17. 이창복(2005b) 원색대한식물도감 하권. 향문사, 910쪽
  18. 임동옥, 김하송, 박문수(2006) 전남지역 귀화식물 분포조사 및 자연생태계 보전방안.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64쪽
  19. 임형탁, 홍행화(2004) 해남지역의 식물상-금강산, 달사만, 주작산-.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25-44쪽
  20. 양효식(1987) 금오도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쪽
  21. 전라남도 교육회(1940) 전라남도식물. 340쪽
  22. 환경부(1999) 제2차 전국 자연환경조사 지침 -식물상, 식생-, 환경부, 88쪽
  23.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c. 3Aufl., 865pp
  24. Muller-Dombois D., and H. E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ley and Sons, New York, 547pp
  25.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larendon Press, 632pp
  26. 鈴木兵二, 伊藤秀三, 豊原源太郞(1985) 植生調査法 II - 植物社會學的硏究法-. 共立出版社. 東京 190pp
  27. 沼田眞(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東京, 16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