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 공개채용시험에서의 학점이수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Unit Completion System into the Opened Examination for the Fire Service

  • 공하성 (동신대학교 소방행정학과)
  • 발행 : 2007.12.27

초록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시험의 자격기준을 보완하여 소방공무원의 자질 및 전문성향상에 기여하고, 소방조직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행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시험에서는 일반직 공무원의 시험과 대부분 동일한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어 무분별한 경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는 결국 소방공무원의 전문성이 결여되어 대 국민 서비스 질 저하로 인한 사기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소방안전관리학과 학생과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작성 분석하고 각종 문헌 자료 등을 토대로,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시험에서의 소정학점을 이수한자에 한하여 시험자격을 부여하는 학점 이수제를 통하여 채용 후 발생되는 자질부족과 업무에서 오는 전문성결여 및 이로 인한 스트레스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또한 소방조직의 전문성을 높여 우리나라가 선진소방에 한 층 더 가까워지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put the purpose to contribute in the way of complementing a qualification of the opened examination for the fire service to improvement of disposition and specialty of a firemen, and to development of a fire department. The subjects of the opened examination for the fire service are mostly same as those of general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hey incite indiscreet competition. As a result, firemen morale became declining. On the basis of every kind of documents and data and th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with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fire safety supervision, we should solve the problems of lack of qualification and professionality causing stress from work by the unit completion system, which qualifies those who complete prescribed unit in the opened examination for the fire service. It must promote the specialty of a fire fighter so that we can step up to the advanced fire depar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소방방재청고시 제2004-33호, 제2조, 제1호
  2. http://cafe.naver.com/edumarket/64
  3. 전국대학 소방안전관리과 교수협의회, '소방공무원의 전문화를 위한 채용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01)
  4. 사법시험법 제3조(응시자격)
  5. http://www.encyber.com (EnCyber 두산백과사전)
  6. 현성호 외 2인, '소방공무원 채용시험에 관한 소고', 한국화재소방학회, Vol.19, No.4, pp.80-86(2005)
  7. http://news.naver.com/news (네이버뉴스)
  8. http://www.knou.ac.kr/ (한국방송통신대학교)
  9. http://edubank.kedi.re.kr/ (한국교육개발원 학점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