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faecalis and E. faecium Isolated in Dried Marine Products

시판 건해산물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와 E. faecium의 미생물학적 특성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Eighty seven strains were isolated from 164 dried marine products(dried squid and dried alaska pollack etc) in Seoul Garak wholesale market. Among 87 isolates, twenty four E. faecalis and 4 E. faecium were identified by API strep kit. Twenty eight strains of E. faecalis, and E. faecium were resistant in streptomycin (95.6%), kanamycin (84.5%), gentamycin (66.7%), cephaloxin (97.8%), ampicillin/sulbactam (88.9%), ticarcillin(66.7%), amikacin (97.8%), sulfonamides (97.8%), ceftriaxone (75.6%), nalidixic acid (100.0%), and cefoxitin (100.0%), and were susceptible in amoxicillin/clavulanic acid(97.8%), chloramphenicol(95.6%),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97.8%), and tetracycline (71.1%). Also, ten strains of E. faecalis was resistant in $S-K-GM-CF-SAM-TIC-An-S_3-CRO-NA-FOX$ drugs simultaneously. Conclusively, E. faecalis strains from dried marine products were resistant on antibiotic drugs residue.

서울시 가락동 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시판되는 건포류 164건에 대해 API strep kit를 사용하여 87주의 균주들을 분리하였고 이 가운데 28주에서 E. faecalis, and E. faecium가, 11주에서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가 분리되었다. 28주의 E. faecalis와 E. faecium에서는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이 streptomycin(95.6%), kanamycin(84.5%), gentamycin(66.7%), cephaloxin(97.8%), ampicillin/sulbactam(88.9%), ticarcillin(66.7%), amikacin(97.8%), sulfonamides(97.8%), ceftriaxone(75.6%), nalidixic acid(100.0%), 그리고 cefoxitin(100.0%) 등이었고, 감수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amoxicillin/clavulanic acid(97.8%), chloramphenicol(95.6%), solfamethoxazole/trimethoprim(97.8%), 그리고 tetracycline(71.1%)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다제내성 형태로는 10 균주의 E. faecalis에서 나타난 $S-K-GM-CF-SAM-TIC-An-S_3-CRO-NA-FOX$에 대한 것이었다. 결국, 건포류에서 분리한 E. faecalis 균주에서 항생제 다제내성이 분포함으로 나타나 probiotics로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결과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상진, 건국대학교 축산가공학과 박사학위논문, Enterococcus faecalis 2B4-1의 분리, 동정 및 생리활성, 1-87, (1998)
  2. 김명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생물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vancomycin 내성 Enterococcus faecium 의 분리와 특성연구, 1-35, (1999)
  3. 임성미, Enterococcus faecalis MJ-14가 생산하는 박테리 오신과 물리화학적 처리의 상승효과, J. Fd Hyg. Safety 20, 217-224, (2005)
  4.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제 7. 일반시험법 8. 미생물 시험법, 78-116, (2005)
  5. 임성미, 이종갑, 박미연, 장동석 : Enterococcus faecalis MJ5-14가 생산한 박테리오신의 항리스테리아 활성, J. Fd Hyg. Safety 19, 151-160, (2004)
  6. 정은경, 원광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석사학위논문, 한국 영아로부터 분리한 Enterococcus faecium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억제효과, 1-31, (2006)
  7. 송문석, 삼육대학교 약학과 석사학위논문, 환자, 동물성 식품, 유산균 정장제의 원료로부터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ecium의 항생제 내성의 특성, 1-25, (2005)
  8. W. Chingwaru., S.F. Mpuchane., and B.A. Gashe : Enterococcus faecalis and Enterococcus faecium isolates from Milk, Beef, and Chicken, and Their Antibiotic Resistance, J. Food Prot.. 66, 931-936, (2003) https://doi.org/10.4315/0362-028X-66.6.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