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Earthquake Parameter of Odaesan Earthquake

오대산지진(2007/01/20)의 지진원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준경 (세명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seismic source parameters of the Odaesan earthquake on 20 January 2007, including focal depth, focal mechanism, magnitude, and source characteristics, are analysed using seismic moment tensor inversion. The Green's function for different 3 crust models representing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re used. Final results show that the event, considering 6 seismic moment tensor elements, is caused by the typical strike slip fault with nearly NNE strike. The focal depth is estimated to be about 11km and 6 seismic moment tensor elements with 7.2% CLVD value shows typical double couple seismic source. The consistent characteristics of the strike and epicenter of the event with Odaesan fault imply that Odaesan earthquake is mainly caused by movement of the Odaesan fault.

2007년 1월 20일 발생한 오대산지진과 관련된 지진원 상수(지진원기구, 진원깊이, 규모, 지진원 특성 등)를 지진모멘트텐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개의 지각속도 모델에 의한 각각의 지각반응을 분석을 위한 그린함수로 이용하였다. 분석된 6개의 지진모멘트텐서 성분을 조합한 결과 오대산지진은 거의 북북동 방향의 주향을 가진 주향단층의 운동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해석된다. 진원깊이는 약 11 km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6개의 지진모멘트 성분을 분석한 결과 CLVD 성분이 약 7%의 값을 가지고 있어 순수 단층면위의 미끄러짐 현상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지진원기구의 주향이 오대산 단층의 주향과 일치하고 있고, 또한 진앙도 오대산 단층의 지표 연장선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오대산 단층이 지진유발 단층인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섭, 2007, 오대산지진에 대한 한반도 남부지역의 장주기 지반운동 모의, 한국지진공학회 2007년도 Workshop 발표집, 17-25
  2. 경재복, 허서윤, 도지영, 조덕래, 2007, 2007년 1월 20 일 오대산 지진(M=4.8)의 진도, 단층면해 및 단층과의 관계 분석, 한국지진공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3-14
  3. 김성균, 정부흥 1985, 한국 남부지역의 지각구조, 광산지질, 18, 151-157
  4. 김준경, 유성화, 오태석, 2007, 모멘트텐서 방법을 이용한 울진지진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55-64
  5. 연관희, 박동희 2007, 오대산지진에 대한 추계학적 지진 동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2007년도 Workshop 발표집, 26-41
  6. Backus & Mulcahy, 1977, Moment tensors and other phenomenological descriptions of seismic sources, II, discontinuous displacements, Geeophys. J. R. astro. Soc, 47, 301-329
  7. Gilbert, F. and Dziewonski, A. M., 1975, An application of normal mode theory to the retrieval of structure parameters and source mechanism from seismic structure, Phil. Trans. R. Soc. , A278, 187-269
  8. KIGAM, 2007, http://quake.kigam.re.kr
  9. KMA, 2007, http://kmaneis.go.kr/depth04_6.htm
  10. Kim and Kraeva, 1998, Source parameter determination of local earthquakes in Korea using moment tensor inversion of single station data, Bulletin of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89(4), pp1077-1082
  11. Robert Herrmann, 2007, Crustal structure earthquake sources and seismic networks, KMA/METRI-KINS Joint Workshop on the Earthquake Mitigation, pp.35-55
  12. Sang Jo Kim, and So Gu Kim., 1983, A Study on the Crustal Structure of South Korea by using Seismic Waves, 광산지질 16편 1호, pp. 51-66
  13. USGS, 2007, http://neic.usgs.gov.neis/FM/neic_jbai_q.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