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Activity toward the South by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Chosuninmin Bo and the Haebang Ilbo

한국전쟁 기간 북한의 대남한 언론활동: "조선인민보"와 "해방일보"를 중심으로

  • Kim, Young-Hee (Institute of Communication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영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Published : 2007.11.14

Abstract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press policy and the related activities performed by North Korea in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and to evaluate th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activ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two representative newspapers published in the South by North Korea at that times - the Chosuninmin Bo and the Haebang Ilbo - were reviewed and analyzed. North Korea operated broadcasting and started newspapers just after the possession of Seoul. and also performed various positive press activities - such as the distribution of the newspapers and periodicals of North Korea and U.S.S.R., putting the movies on the screen, and founding the weekly, etc. But the target of all the media were the same. It aimed to support Kim Il-Sung's scheme which intended to carry out the war successfully and to make the South under occupation Communism System by introducing the Northern law and system. The two newspapers, as agent of power, made only such a role to agitate and exaggerate the false things with unrealistic optimism. They intended to ideologically mobilize the South people and to affect on their perspectives and acts. However the media including the two newspapers being operated in the South during the war had not got the faith or the good response from the South people as an audience. Most of South Koreans were tired with their endless and one-sided propaganda, agitation and ideological enlightenment. It could therefore be evaluated that the press activities by North Korea in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resulted with many limitations in ideologically organizing and mobilizing the South Koreans.

이 연구는 한국전쟁(6 25전쟁) 기간 북한이 남한에서 시행한 언론정책과 그에 따른 주요 언론활동을 고찰했다. 또한 언론활동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북한이 남한에서 발행한 대표적인 두 신문 $\ulcorner$조선인민보$\lrcorner$$\ulcorner$해방일보$\lrcorner$에 대해 분석했다. 북한은 서울을 점령한 그날부터 방송을 운영했고 바로 신문을 창간했다. 이어 북한과 소련의 신문과 정기간행물을 보급하기 시작했고 영화를 상영했으며, 주간지를 창간하는 등 적극적으로 언론활동을 전개했다. 이와 같이 여러 매체들이 출현했으나 그 목표는 모두 같았다. 성공적인 전쟁수행과 점령한 남한지역에 북한식 제도와 법을 도입하여 공산주의체제로 만들고자하는 김일성의 계획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두 신문은 권력의 대행자로서 비현실적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선동적 거짓말을 과장해서 보도한 수단적 존재였다. 그리하여 당시 남한의 독자들을 사상적으로 동원하고, 그들의 시각과 행동을 주조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두 신문을 비롯한 한국전쟁 기간 북한이 남한에서 운영한 언론매체들은 수용자인 남한 주민들로부터 신뢰와 호응을 받지 못했다. 대부분의 남한주민들은 북한 언론매체의 일방적이며 진실성이 결여된 끊임없는 선전과 선동, 이데올로기적 교화에 피곤해했다. 따라서 한국전쟁 개시 이후 북한이 남한에서 전개한 언론활동은 그들이 목표로 한 남한 주민들을 사상적으로 조직하고 동원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