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Community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Mt. Seokbul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와 군락 분류

  •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the Mt. Seokbul appeared to be 342 taxa; 96 families, 249 genera, 293 species, 2 subspecies, 43 varieties and 3 forms and 1 cultivar.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2 taxa existed in the studied areas; Lloydia triflora(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69), Aristolochia contorta(No. 151)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7 taxa existed; Cephalotaxus koreana, Carex okamotoi, Populus tomentiglandulosa(Planted species), Indigofer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Forsythia koreana (Planted specie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8 taxa; Wistaria floribunda(Planted species) in class IV, Lloydia triflora, Acer palmatum in class III, 15 taxa (Cephalotaxus koreana, Quercus variabilis, Ulmus parvifolia, Aristolochia contorta, Pyrus ussuriensis,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1 families, 26 genera, 32 species, 2 varieties, 34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9.9% of all 342 taxa vascular plants. The plant communities in the Mt. Seokbul were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No. 1, 3, 4)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No.2).

본 연구는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조사하여 식물종의 분포 양상을 알림으로서 식물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일조하고자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96과 249속 293종 2아종 43변종 3품종 1재배종으로 총 342종류가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에는 나도개감채(보존우선순위; 169번)와 쥐방울덩굴(151번)이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에는 민땅비싸리, 산철쭉, 개나리(식재종), 병꽃나무, 개비자나무, 지리대사초, 은사시나무(식재종)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V등급과 II등급에 해당하는 식물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IV등급에는 등나무가(식재종), III등급에는 나도개감채, 단풍나무가, I등급에는 개비자나무, 민바랭이새, 굴참나무, 참느릅나무, 송악, 쥐방울덩굴, 산돌배, 예덕나무, 물오리나무, 말오줌때, 동백나무(식재종), 거지덩굴, 장구밥나무, 정금나무, 큰엉겅퀴로 총 18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1과 26속 32종 2변종으로 총 34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42종류의 관속식물 중 9.9%로 분석되었다. 석불산 일대의 식물군락에는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식물들의 우점도와 군도를 조사한 후 종조성표를 작성하여 군락을 선정한 결과, 3개의 조사구는 소나무군락으로, 1개의 조사구는 곰솔군락으로 분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강석, 나진균, 서민환, 길지현, 구인봉, 윤조희, 오현경, 박수현. 2000. 귀화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I). 국립환경연구원. pp. 96
  2.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서울 pp. 408
  3. 김수인. 1988. '88자연생태계 전국조사(I-2) 제3차년도(전북의 녹지자연도). 환경청 pp. 173-203
  4. 김준민, 김철수, 박봉규. 1987. 식생조사법-식물사회학적 연구법-. 일신사. 서울 pp. 170
  5.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6. 김하송. 2006. 신안군 임자도의 귀화식물 분포 변화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5): 586-591
  7. 문화재청. 2004.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문화재청 pp. 245
  8.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pp. 371
  9.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 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pp. 184
  10. 박수현. 1996. 외래식물의 국내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귀화 식물의 분포도와 자생경로-. 그린스카우트 pp. 5-14
  11. 백원기, 장근정, 이우철. 1999.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의 분포와 식생. 환경부지정 위해외래동.식물의 분포와 생태. 한국자원보존협회강원도지부 pp 89
  12.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 -보조지침 및 대상식물- pp 140
  13. 이경재. 1996. 외래식물의 국내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외래 식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그린스카우트 pp. 10-25
  14.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pp. 1269
  15.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624
  16. 이인숙. 1991. '90자연생태계 전국조사(II-2) 제5차년도(전북의 식생). 환경처 pp. 149-177
  17.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18.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19. 환경부. 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pp. 62-89
  20.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제2조 관련)-멸종위기야생동.식물 I, II급-. 환경부
  21.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pp. 160
  2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der Vegetation stunde. Wien pp. 865
  23.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547
  24.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Tokyo 31: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