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ructure and Variability in Gwangyang Bay in Spring 2006

2006년 봄철 광양만 해류의 구조와 변동

  • Lee, Jae-Chul (Korea Inter-university Institute of Ocea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Chang (Korea Inter-university Institute of Ocea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재철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 김정창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wo monitoring buoys equipped with ADCP were deployed at the deepest positions along the trough of the central Gwangyang Bay in spring 2006 in order to study the circulation in the bay. Northward velocity is commonly dominant at both station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channel, which supports the cyclonic circulation accompanied by the southward flow in the western part. The southern station has a distinct two-layer structure with current reversal at 14 m depth and increasing northward velocity in the lower layer to 36 m depth close to the bottom. At the northern station the northward flow becomes accelerat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is northward current is dominant even in the upper layer. In the modal structure from the EOF analysis, the first mode has 74% of total variance at the northern station whereas it is 67% but the baroclinic portion increases at the southern station. The typical northward velocity is about 10 cm/s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cyclonic circulation. Subtidal variability due to the local wind effect is negligible, but the nonlocal response associated with offshore Ekman flux by the zonal wind is found during strong wind events.

광양만의 순환을 이해하기 위하여 2006년 봄철에 수심이 가장 깊은 두 지점을 선정하여 ADCP가 장착된 모니터링 부표 2대를 이용하여 유속관측을 하였다. 두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북향류가 지배적인데, 이는 서쪽의 남향류를 동반하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 이 있음을 뒷받침 하고 있다. 남쪽에서는 14 m 수심에서 유향이 반전되는 2층 구조가 뚜렷하며 저층의 북향류는 바닥에 가까운 36 m 수심까지 증가한다. 북쪽 지점에서는 북향류가 더욱 강해져서 북쪽의 단면적 감소에 따른 해류의 가속 효과가 있으며 상층부에서도 북향류가 우세하다. EOF 분석을 통한 연직구조에 있어서 첫 번째 모드는 북쪽 부표에서 전체 분산의 74%인데 비하여 남쪽 부표에서는 67%로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2층 구조의 비중이 크다. 반시계 방향의 순환과 관련된 북향류의 전형적인 유속은 약 10 cm/s이다. 여기에 중첩되는 변동성으로서 국지적인 바람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 반면에 동-서 방향의 바람에 의한 외해의 에크만 수송과 관련된 비국지적 영향은 주로 풍속이 강할 경우에 나타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철, 김정창, 박명원. 2006. 광양만 북동부 해역의 해류관측. '바다', 한국해양학회지, 11: 136-142
  2. Valle-Levinson, A., K.-C. Wong and K.T. Bosley, 2001. Observations of the wind-induced exchange at the entrance to Chesapeake Bay. J. Mar. Res., 59: 391-416 https://doi.org/10.1357/002224001762842253
  3. Wang, D.P. and A.J. Elliott, 1978. Non-tidal variability in the Chesapeake Bay and Potomac River: Evidence for non-local forcing. J. Phys. Oceanogr., 8: 225-231 https://doi.org/10.1175/1520-0485(1978)008<0225:NTVITC>2.0.CO;2
  4. Wang, D.P., 1979. Subtidal sea level variations in Chesapeake Bay and relations to atmospheric forcing. J. Phys. Oceanogr., 9: 413-421 https://doi.org/10.1175/1520-0485(1979)009<0413:SSLVIT>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