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영재 학생들이 존경하는 과학자의 조건과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The Respectful Characteristics of a Scientist and the Effects of Dr. Hwang, Woo Seok Event on Science Gifted Students

  • 발행 : 2007.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들이 존경하는 과학자의 조건, 과학 영재들의 진로 의식,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한 영재들의 인식 및 진로 결정에 미친 영향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S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의 화학분과의 중학생 2학년 영재 19명(남 11명, 여 8명)과 J과학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44명(남 32명, 여 12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선택형 및 서술형으로 구성된 총 14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학생들이 존경하는 과학자는 학교 급별 차이가 있었고 존경하는 과학자의 성별은 과학 영재들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해서는 47.6%의 학생들이 모든 것이 황우석 박사의 잘못이므로 더 이상 과학계에 발붙일 수 없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황우석 박사에 대해 동정론적 인식을 갖고 있는 학생들도 36.5%나 되었다. 대부분의 과학 영재들은 황우석 박사 사건을 통해 과학자에서 정직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았다고 하였다. 과학 영재들 대부분은 과학자에게도 도덕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 respectful scienti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ir recognition on the event of Dr. Hwang, Woo Seok and its effects on their future goal deci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9(11 males, 8 females) secon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hemistry department of S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nd 44(32 males, 12 females) first and second grade of J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scientist the students respect were varied by school level and the sex. For the event of Dr. Hwang, Woo Seok, 47.6% students recognized that he must be banished from the science field and 36.5% students showed sympathy for Dr. Hwang, Woo Seok. It was said that most science gifted students realized the importance of honesty through this event. Most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moral education in science gifted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종석, 심규철, 육근철 (2001).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3). 85-97
  2.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 (2000). 중학교 과학영재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173
  3. 송진웅 (1993). 교사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존경하는 과학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48-55
  4. 심규철, 박상태, 박종석, 변두원, 김여상 (2003). 20년 후 자화상 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의 미래 직업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연구. 13(2). 57-71
  5. 이덕환a (2006). 과학기술계의 통렬한 반성이 필요하다. http://www.sciencetimes.co.kr (검색일: 2007.1.9.)
  6. 이덕환b (2006). 황우석 박사에게 기회를 줄 수 없는 이유. http://www.sciencetimes.co.kr. (검색일: 2007.1.9.)
  7. 이혜숙, 최경희, 이재경, 마경희, 이기순 (2005). 직업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 및 여성과학기술자, 그리고 역할모델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 교육학회지. 25(2). 184-196
  8. 최성우 (2006). 몇몇 '스타 과학자'보다 일선 과학기술인 사기 진작을. http://www.hani.co.kr. (검색일: 2006.10.25)
  9. 채은하, 강양구 (2006). '黃 지지자들, '팬덤 현상' 보여…黃이 자제시켜야' http://www.pressian.com.(검색일 : 2006.11.10)
  10. 하철봉 (2005). 성공한 과학자의 사례를 도입한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 직업관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11. Colangelo, N. (1991). Counseling gifted students. In N. Colangelo & G.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12. Evans, M.A., Whigham, M., & Wang, M. C. (1995). The effect of role model project upon the attitudes of ninth-grade scienc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2). 195-204 https://doi.org/10.1002/tea.3660320208
  13. Gottfredson, L.S.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6). 545-579 https://doi.org/10.1037/0022-0167.28.6.545
  14. Reid, C., & Romaoff, B. (1997).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identify gifted children. Educational Leadership, 55(1). 71-74
  15. Sumrall, W. J. (1995). Reasons for the Perceived Images of Scientists by Race and Gender of students in Grades 1-7.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2). 83-9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3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