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caffolding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Experience

경험의 종류를 달리한 비계설정의 효과 분석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xtent of students' creativity through the use of scaffolding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experience in making insights on problem solving and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a new scaffolding type which is not used in accomplishing a phase of activity but in having an insight. The students' achievements in problem solving given the scaffolding for on-site experience were compared with those given the scaffolding using stories. Also, the extent of creativity of the first- and sixth- grade students using the two types of scaffolding were investigated as they carried out picture completion task from TTC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s not given the scaffolding in post-test did not advance in creativity but experimental groups given the scaffolding showed improvement in some subordinate elements after scaffolding. Moreover, scaffolding using stories we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s' creativity than the scaffolding using on-site experience.

본 연구에서는 경험의 종류를 달리하여 설정된 비계가 아동의 창의성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즉 경기도 소재 J초등학교 1학년 아동 156명과 6학년 13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는 상황적 경험과 이야기 경험으로 구성된 비계를 실험집단 아동에게 제공하였다. 창의성 검사 도구로는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지 중 그림 완성문제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비계설정을 통한 창의성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검사에서 상황적 경험을 이용해 비계가 제시된 실험집단 아동들은 비계설정 후에 오히려 창의성이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내보였으며 특히 창의성 하위요소 중 제목의 추상성과 정교성이 통계적으로도 의의 있는 감소 현상을 보여주었다. 반면, 이야기 경험을 이용해 비계가 제시된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비계설정후에 매우 의미 있는 창의성 신장 양상을 나타내 보임으로써 상황적 경험을 제공받은 실험집단과 반대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설정된 비계로 인한 학년별 창의성 신장 양상이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1학년과 6학년 모두 이야기 경험을 이용해 비계를 설정한 경우, 이들의 창의성이 향상되는 반면, 상황적 경험을 제공하였을 때는 창의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계획적 조직적으로 설정되는 모든 비계들이 아동의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비계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때로는 부정적인 영향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계설정이라는 교수 학습방안을 적용할 때는 아동의 연령과 흥미를 고려하여 어떠한 종류의 매개체를 이용한 비계설정이 이들의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먼저 밝혀낸 후, 구체적인 교수 학습 활동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희, 곽현선 (2005). 학교 교육에서의 창의성 평가 방안 연구. 교육과정연구. 23(3). 101-136
  2. 신권식 (2000). 비계로서의 쓰기 과제 제시 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3. 이순주 (2006). 제시어로 구성된 비계 설정에 의한 창의성 신장 연구. 열린교육연구. 13(1). 185-214
  4. 이순주, 서현석 (2006). 시각적 매개체로 구성된 비계설정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355-377
  5. 이희주 (2000). 교사의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Scaffolding 유형과 문제해결력의 차이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6. 장은아 (1999). 수업 중 교사․학생의 대화 전략.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7. 함 욱 (2000). 교사의 수업운영 대화 전략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8. 한순미 (1999). 비고츠키와 교육. 교육과학사
  9. Berk, L. E., & Winsler, A. (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NAEYC Research and Practice Series 7. Washington, DC: National Assoc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0. Bruner, J. S. (1983).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he hidden agenda.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 23. 93-97
  11. Guilford, J. P. (1971).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s, 5, 444-454 https://doi.org/10.1037/h0063487
  12. Выготскnn, JI. С. (1930). Воображение и творчество в детском вoзрасте[아동기의 상상력과 창의성]
  13. Выготский, Л. С. (1960). Развитие высших психических функций[고등 심리 기능의 발달]. М
  14. Гальперин, П. Я. (1966). Психология мышления и учение о поэтапном фор- мировании умственных действий[지적 활동의 단계적 형성에 대한 사 고 및 학습 심리학]. Исследования Мышления в Советской Психолог ия[소련 심리학에서의 사고력 연구]. М
  15. Обухова, Л. Ф., & Чурбанова, С. М. (1994). Развитие дивергентного мыцлен- ия в детском возрасте[아동의 사고 발달]. Издательст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те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