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E ESTIMATION USING PANORAMIC RADIOGRAPHS OF DEVELOPING PERMANENT TEETH

발육중인 영구치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계측을 이용한 연령 추정

  • Choi, 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Kim,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Dental Research Institute and Second Stage of BK21)
  • 최은영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연구소 및 2단계 BK21 사업단)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연구소 및 2단계 BK21 사업단) ;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연구소 및 2단계 BK21 사업단) ;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치의학연구소 및 2단계 BK21 사업단)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metric measurements of crown length, root length and apex width during tooth development could be a better basis for correlation with age than the classical methods based on subjective estimations of various stages of tooth development. Panoramic radiographs of 120 children, aged 7 to 9 years, were collected from the department of the pediatric dentistr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The methods of Mornstad was used to estimate age. The structures measured were crown length root length and apex width in panoramic radiographi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boys, it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lower 2nd molar crown length, lower 1st molar root length or lower 1st permolar apical width and age. In the girls, it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lower 2nd premolar crown length, lower 2nd molar root length or lower 1st molar apical width and age. 2. With the aid of a multiple regression model,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some of these distances and age was shown. Boy(months) = 43.958 + lower 2nd molar crown length ${\times}$ 4.392 + lower 1st molar root length ${\times}$ 2.255 - lower 1st permolar apical width ${\times}$ 2.046, Girl(months) = 75.213 + lower 2nd premolar crown length ${\times}$ 3.910 lower 2nd molar root length ${\times}$ 2.280 - lower 1st molar apical width ${\times}$ 6.217 Age was estimated in boys and girls using the mathematic model ; the mean difference between chronological and estimated ages was $-2.1{\pm}6.8$ months for boys and $6.1{\pm}6.2$ months for girls. Therefore, it seems to be more accurate and easier than the earlier methods.

본 연구는 혼합치열기 아동에 있어서 연령을 추정하는데 치아의 발육을 이용하면서 치아발육의 평가에 객관적인 수치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도출함으로써 간단하게 연령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에서 2004년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환아 중 $7{\sim}9$세 어린이 120명을 대상으로 얻어진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Mornstad에 의해 제시된 발육치아의 치관 길이, 치근 길이, 치근단공 너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과 상관성이 높은 계측치로 남아에서는 제 2대구치 치관 길이, 제 1대구치 치근 길이, 제 1소구치 치근단공 너비가 높은 상관성을 보인 반면 여아에서는 제 2소구치 치관 길이, 제 2대구치 치근 길이, 제 1대구치 치근단공 너비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2. 상관성이 높은 계측치를 중다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역령과 연관시켜 연령추정 방정식을 산출하였다. 남아(개월) = 43.958 + 하악 제 2대구치 치관 길이 ${\times}$ 4.392 + 하악 제 1대구치 치근 길이 ${\times}$ 2.225 - 하악 제 1소구치 치근단공 너비 ${\times}$ 2.046, 여아(개월) = 75.213 + 하악 제 2소구치 치관 길이 ${\times}$ 3.910 + 하악 제 2대구치 치근 길이 ${\times}$ 2.280 - 하악 제 1대구치 치근단공 너비 ${\times}$ 6.217 위 식을 토대로 측정에 사용되지 않은 남녀 각각 10명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나이를 추정한 결과 남아에서는 $-2.1{\pm}6.8$개월의 편차를, 여아에서는 $6.1{\pm}6.2$개월의 편차를 보였다. 이처럼 연령을 모르는 우리나라의 혼합치 열기 아동에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연령 추정시 위의 방정식을 사용한다면 비교적 정확하게 연령을 추정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