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TOPICAL ALENDRONATE APPLICATION ON INFLAMMATION OF REPLANTED RAT MOLAR

탈구치의 alendronate 도포가 재식 후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 Choi, Su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Lee, Ke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최성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긍호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is study histologically assessed the effect of topical alendronate application on periodontal healing in replanted teeth in fifty four SD Rats. Upper first molars in rat were extracted and replanted after dried during 15 minutes or 60 minutes in the air. In Group I, all teeth were replanted after 15 minutes of dry storage without any other treatment. In Group II and III, the pulps were removed and all teeth were replanted after soaking 10 min in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with/without alendronate, followed by 60 minutes of dry storage. the rats were sacrificed after 7, 15 and 30 days. The histological parameters studied were healed PDL, surface inflammatory and replacement resorption, and inflammatory sever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1. Group I showed lower inflammatory root resorption and inflammation severity rate, compared to Group II and Group III. In Group I there showed effective for reattachment and regeneration of PDL. 2. In Group II, inflammatory root resorption were more severe and faster than other groups. There were extensive root resorption in the rats sacrificed after 30 days. 3 In Group III, there were localized inflammatory resorption in several areas, but extensive resorption did not occur Group III showed increase in root resorption rate, compared to Group I.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sacrificed days in replacement root resorption in all groups.

본 연구는 탈구치에 대한 alendronate(ALN)도포가 지연재식모델에 있어 염증반응의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자 태생 6주된 54마리 SD Rat의 상악 제 1 대구치를 재식하였다. 실험군은 15분 자연건조 후에 즉시 재식군(I군), 60분 자연건조 후 HBSS 도포군(II군) 그리고 60분 자연건조 후 ALN 도포군(III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 간의 치근의 염증성 흡수상태, 치근의 대치성 흡수정도, 염증의 정도, 그리고 치주인대의 치유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군은 II, III군에 비하여 염증의 정도나 치근의 염증성 흡수정도 등 전반적인 염증반응이 적었고, 치주조직의 재부착 및 재생의 정토가 가장 높았다. 2. II군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증이 가장 심하였으며, 치근흡수 또한 광범위하였다. 3. III군은 II군에 비하여 치근면에 국소적인 염증반응이 나타났으며 치근의 염증성 흡수 또한 국소적으로 발생하였다(p<0.001). I군에 비하여 치주조직의 염증반응은 증가하였으나(p<0.05) 염증성흡수와 대치성흡수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4. 각 군에서 대치성흡수의 양상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탈구치가 구강 외에서 장시간 건조되었을 경우 ALN의 사용은 치근흡수를 억제하고 치주조직의 재생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LN은 치아의 탈구시에 사용되는 여러 약재들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탈구치의 재식시 ALN 사용을 위한 적절한 용량과 도포용제재의 개발을 통하여 치아의 재식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