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TH MOVEMENTS TO THE SITE OF ALVEOLAR BONE GRAFT

구순구개열 환아에서의 치조골이식

  • Cho, H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Park, Jae-H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Kim, Gwa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Choi, Se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Lee, Ke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Choi, Yeu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조해성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박재홍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광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성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긍호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영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Cleft lip and palate are congenital craniofacial malformation. Reconstruction of dental arch in patient with alveolo-palatal cleft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have many problems in functions and esthetics. Malnutrition, poor oral hygiene, respiratory infections, speech malfunctions, maxillofacial deformity, and psychological problems may be occured without proper treatment during the long period of management of the cleft lip and palate. So the treatment should be managed wit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Bone grafting is a consequential step in the dental rehabilitation of the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A complete alveolar arch should be achieyed of the teeth to erupt in and to form a stable dentition. And the presence of the cleft complicate the orthodontic treatment. Therefore bone grafting in patie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is a widely adopted surgical procedure. Grafted bone stabilizes the alveolar process and allows the canine or incisor to move into the graft site. After the bone grafting, orthodontic closure of the maxillary arch has become a common practice for achieving dental reconstruction without any prosthodontic treatment. Various grafting materials have been used in alveolar clefts. Iliac bone is most widely fovoured, but tibia, rib, cranial bone, mandible have also been used. And according to its time of occurrence, the bone graft may be divided into primary, early secondary, secondary, late secondary. Bone grafting is called secondary when performed later, at the end of the mixed dentition. It is the most accepted procedure and has become part of treatment of protocol A secondary bone graft is performed preferably before the eruption of the permanent canine in order to provide adequate periodontal support for the eruption and preservation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cleft. In this report, we report here on a patient with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ho underwent iliac bone graft. The cleft was fully obliterated by grafted bone in the region of the alveolar process. The presence of bone permitted physiologic tooth movement and the orthodontic movement of adjacent tooth into the former cleft area. Satisfactory arch alignment could be achieved in by subsequent orthodontic treatment.

치조파열 및 구개열과 같은 선천성 기형은 이환된 환자에게 기능적, 심미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정상으로 회복시켜 주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장기간 방치될 경우 영양장애, 구강위생 불량, 호흡기 감염, 언어 장애, 악안면 변형, 그리고 정신적인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순구개열 환자의 치료는 여러 전문 치료 분야의 복합적 인 접근이 필요하다. 골이식은 구순구개열 환자에 있어 중요한 치과치료 단계이다. 치아의 맹출과 치열의 안정화를 위해 치열궁은 골결손이 없이 완전해져야 한다. 또한 치열궁의 파열이 있는 부위로는 정상적인 교정적 치아이동이 곤란하다. 따라서 구순구개열 환자에 있어 골이식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외과적 술식이다. 치조골을 이식함으로써 치조열은 안정화되고, 견치 또는 절치가 이식부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 이식 후, 교정을 통해 치조열 부위의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보철치료 없이 치열을 재형성 할 수 있다. 골이식술에는 다양한 이식재료가 사용되었다. 자가골을 이식할 경우 장골이 가장 선호되며, 그밖에 경골, 늑골, 두개골, 하악골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골이식은 골이식 시기에 따라 일차골이식, 조기 이차골이식, 이차골이식, 만기 이차골이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차골이식은 혼합치열기 말경에 시행되는 것을 말하며 가장 좋은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구 견치가 맹출되기 전에 이차골이식을 시행하면 인접치아의 맹출과 보존에 도움이 된다. 본 증례에서는 치조구개파열 환자의 장골에서 골을 채취하여 골 이식을 시행한 후, 골이 채워진 이식 부위에 인접 치아가 성공적으로 이동하거나 치축이 개선되고 교정치료를 통해 치열궁 배열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