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지역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식생복원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Consider Analysi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Burned Area

  • 김정호 (동문건설(주)특화사업부) ;
  • 이수동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Kim, Jeong-Ho (Dept. of Specialization Project, Dongmoon Construction Co., Ltd.) ;
  • Lee, Soo-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inju National Univ.)
  • 발행 : 2007.10.31

초록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역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생태적 식생복원 모델을 제시하고자 2000년도에 산불이 발생하여 사방사업차원에서 잣나무, 자작나무 등을 조림한 영인산 자락 일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현존식생 조사대상지로 선정한 $1,152,404.3m^2$ 중 산불지역은 69.2%이었고 이중 관목숲이 24.67%로 가장 넓었다. 현존식생유형과 산불피해상태를 고려해 설정한 27개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분석한 결과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산불지역은 관목층 식생이 우점하였고 잣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곰솔군락, 졸참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나뉘어졌고 비산불지역은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종다양도는 산불지역이 $0.3679{\sim}0.5907$로 비산불지역 $0.5728{\sim}0.8865$보다 낮았다. 출현종수는 산불지역이 $5{\sim}8$종으로 비산불지역 $8{\sim}12$종보다 작았으며 개체수는 산불지역 ($156{\sim}465$개체)이 비산불지역($61{\sim}227$개체)보다 많았다. $100m^2$당 층위별 생육밀도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가 $1{\sim}8$주, 졸참나무가 $3{\sim}5$주, 아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 $2{\sim}4$주, 신갈나무 1주 등이 출현하였다. 토양의 경우 산불지역 pH가 5.45로 비산불지역 pH 5.25보다 높았다. 식생복원모델은 천이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신갈나무-졸참나무 중경목군락을 모델로 설정하여 식재종과 식재밀도 그리고 식재모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vegetation structure to suggest a vegetation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by using the case of the afforestation for erosion control area with Pinus koreaiensis and Betula platyphylla, etc., on the hills of the Young-in mountains after its great fire in 2000. Of the area having a dimension of $1,152,404.3m^2$ selected as a survey site for the existing vegetation, the forest fire area accounted for 69.2% among which, brushwoods accounted the most for 24.67%.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27 surveyed unit plots[unit dimension: $100m^2$] set up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vegetation pattern and damaged state from the forest fire, the surveyed area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Shrub layer's vegetation was found to be dominant in forest fire areas and the surveyed sites were classified into 5 plant communities, i.e. P. koraiensis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P. thunbergii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B. platyphylla community in forest fire areas, while non-forest fire areas were classified into 5 plant communities, such as P. densiflora community, Q. acutissim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mongolica-Q. serrata community, B. platyphylla community. Species diversity of forest fire areas was $0.3679{\sim}0.5907$ and that of non-forest fire areas was $0.5728{\sim}0.8865$.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species in the forest fire areas was $5{\sim}8$ and that of non-forest areas was $8{\sim}12$; however, the population of forest fire areas$(156{\sim}456)$ was higher than that of non-forest fire areas$(61{\sim}227)$. In the analysis of growth density per layer$[of\;100m^2]$, there appeared $1{\sim}8$ trees of Q. mongolica and $3{\sim}5$ trees of Q. serrata in the upper layer species; $2{\sim}4$ trees of Q. serrata and one tree of Q. mongolica in the canopy layer.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soil, acidity of forest fire areas was pH 5.45 and that of non-forest fire was pH 5.25. By setting up the middle D.B.H range of Q. mongolica-Q. serrata community as the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planting species, planting density and planting models a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경, 방광자(2001) 수도권 지역의 선갈나무군집 복원 모형. 한국조경학회지 28(6): 1-15
  2. 김잡덕, 김태욱, 김준선(1991) 전남 백운산 별채지역의 산림 생태계 천이에 관한연구(I) -전남 백운산 북사면 천연림 개제군 분포 및 군집의 천이-. 서울대 농대연습림연구보고 27: 54-64
  3. 김종갑, 오기철(2001) 침엽수와 활엽수 산림에서 산불 후 토양화학적 및 토양미생물학적특성 변화. 한국생태학회지24(1): 1-7
  4. 김종원(1993)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현황분석 연구. 한국환경기술개발원, 83쪽
  5. 남이, 민일식, 장인수(2000) 강원도 고성 산화지역의 토양 이화학성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38-45
  6. 박관수, 이미정, 송호경(2002) 산화가 초본층의 발생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친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2): 141-148
  7. 박재현(1995) 백운산 성숙활엽수림 벌재수확지에서 벌출 직후의 환경변화. 한국임학회지 84(2): 465-478
  8.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회지 1(1): 1-23
  9. 송근준(1994) 수도권지역 삼림의 식물군집구조 및 생태적 천이의 특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0쪽
  10. 심학보, 김원(1996) 초례산의 산화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 집구조 및 토양성분의 동태. 한국생태학회지 19(5) 417-430
  11. 오구균(1986)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배식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 -창덕궁후원 자연식생분석을 통하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9쪽
  12. 오기철, 김종갑, 정원욱, 민재기(2001) 산불 후 산림식생 및 토양환경의 변화.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3): 19-29
  13. 우보명, 권태호(1983) 황폐산지에서 산불이 산림식생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62: 43-52
  14. 우보명, 오구균, 김경훈, 박종영, 박정호(1994) 백운산 연습림내 벌채지역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I). 서울대학교 연습림 연구보고 30: 15-25
  15. 이경재, 김정호, 최송현(2000) 지리산국립공원 삼신봉주변 산불지역의 식생회복 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18-27
  16.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5)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환경림 조성기법 연구(I). 한국조경학회지 23(3): 48-58
  17. 이상명, 김호준(2001)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영인산 식물상-. 환경부
  18. 정용문, 방의석, 조용현, 김현숙, 송호경(2006) 아산시 영인산의 산림군락구조.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4): 60-66
  19. 정원욱, 마호섭(2001) 산불발생지의 표면유출수와 토양침식량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3): 1-9
  20. 조우, 김종엽, 홍석환(2005) 인천 백마도시자연공원 현존식생 유형과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4): 358-366
  21. 최송현(1993) 북한산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의 5년간의 변화 연구. 응용생태연구회지 7(1): 35-48
  22. 최창용, 이은재, 남현영, 이우선(2007) 산불 발생 지역의 피해목 벌채에 따른 조류 개체군과 군집의 변화. 한국임학회지 96(1): 115-123
  23. 山間勇, 古村健次郎, 四手井網(1966) 伐採適地に植生遷移. 第77回日林講: 519-682
  24. Ahlgren, I. F. and C. E. Ahlgren(1960) Ecological effects of forest fires. Botanical Review 26: 483-533 https://doi.org/10.1007/BF02940573
  25. Beaton, J. D.(1959) The influence of burning on soil in the timber range area of Lac Le Jeane, British Columbia. Can. J. Soil Sci. 39: 1-11 https://doi.org/10.4141/cjss59-001
  26.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27. Curtis J. 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376-496
  28. Monk, C.D., G.I. Child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https://doi.org/10.2307/1933901
  29. Morrison, D. G.(1996) Design, restoration and managem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Georgia, Athens
  30. Pielou, E. C. (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
  31. Sausa W. P. (1984) The role of disturbance in natural communities. Annu Rev. Ecol. Syst. 15: 353-391 https://doi.org/10.1146/annurev.es.15.110184.002033
  32. Tarrant, R. F. (1956) Effects of slash burning on some soils of the Douglas-fir region. Soil Sci. Soc. Amer. Proc. 20: 408-411 https://doi.org/10.2136/sssaj1956.0361599500200003003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