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aya, Chungcheongnam-Do Province

충청남도 가야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 Yun, Chung-Weon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Ho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Jin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찬호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혜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Mt. Gaya from April to October in 2006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of Z-M schools. One hundred study sites(quadrat) were surveyed in the area.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3 community groups such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group and artificial forest group. P, densiflora community group was subdivided into 4 communities such a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Meliosma oldhamii community and P. densiflora typical community. R. schlippendbachii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Potentilla dickinsii group(subdivided into Carpinus coreana subgroup and Melandrynum firmum subgroup) and R. schlippenbachiitypical group.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group was also subdivided into 4 communities such as Hovenia dulcis community, Quercus aliena community, Ribes maximowicianum community and C. controversa typical community. Artificial forest type indicated 3 communities such as Larix leptolepis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and Castanea crenata community. Accordingly, the vegetation pattern of the surveyed areas were classified into 3 community groups, 11 communities, 2 groups, and 2 subgroups an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3 units in total. It is also believed that C. coreana subgroup and M. oldhamii community could be a source for a significant basic data for making vegetation hierarchy and forest distribution zone in the Korean peninsula. H. dulcis community was also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genetic resources; therefore, those distribution areas are required to be institutionally protected and managed in the near future.

본 충청남도 가야산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06년 4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100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던바 가야산의 산림식생은 소나무군락군 유형, 층층나무군락군 유형, 인공식재림 유형으로 대별되었다. 소나무군락군은 철쭉군락, 갯버들군락, 합다리나무군락, 소나무전형군락으로 분류되어졌으며, 철쭉군락은 돌양지꽃군(소사나무소군과 대나물소군으로 세분됨)과 철쭉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층층나무군락군은 헛개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명자순군락, 층층나무전형군락으로 세분되었다. 인공식재림 유형은 일본잎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조사지역의 식생유형은 3개 군락군, 11개 군락, 2개 군, 2개 소군으로 분류되었고, 총 13개의 식생단위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소사나무소군과 합다리나무군락은 한반도 산림분포대 및 식생체계의 정립시 난대림 유형과 그 분포지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식생단위로 보이며. 헛개나무군락은 중요한 유전자원으로 보호 관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기, 임양재(1987) 칠갑산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0(1): 33-42
  2. 김정둔, 임양재, 길봉섭 (1988) 대둔산 도립공원 삼림식생의 분류와 유형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1(3): 109-122
  3. 김윤식, 박소원(1983) 가야산(충남)의 식물상 조사 연구. 고려대교육대학원, 95-103
  4. 김현숙, 김호준, 이규석, 송호경 (2004) 계룡산 동학사계곡 남사면과 북사면의 산림식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52-61
  5. 김효정, 이미정, 지윤의, 안승만, 이규석, 송호경 (2002) 대전 도덕봉과 백운봉의 산림군락 분류.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3): 216-223
  6. 김효정, 이미정, 이규석, 박관수, 송호경 (2004) 계룡산 상부 지역의 산림식생.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1): 127-132
  7. 방광자, 이동근, 강현경, 김정연(1999) 안면도 식물상 조사를 통한 산림관리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4): 27-34
  8. 서정호, 이우균, 선요한, 함보영(2001) 안면도 소나무 임분의 동적 생장모델. 한국임학회지 90(6): 725-733
  9. 송무영, 신광수(2000) Landsat TM에 의한 안변도 산림자원 변화경향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1(2): 188-200
  10. 송호경, 이선, 허원무, 이미정(2000) 자연친화적인 산림경 영을 위한 안면도 산림자원 분석. 한국임학회지 89(2) : 185-197
  11. 신준환(1995) 산림생태계 생물다양성 보전전략. 한국임학회지 84(3): 377-393
  12. 신준환(2004) 백두대간 관리범위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97-204
  13. 鈴木兵二, 伊藤秀三, 農園源太良(1985) 植生凋謝法 II-植物社會學的研究法. 共立的版株式會社, 190쪽
  14. 예산군(2005) '산림종합계획' 388쪽
  15. 예산군(2006) '예산군 경제림 육성단지 기본관리계획' 명진사, 403쪽
  16. 이병천, 윤충원, 신준환, 오정수(2001) 면산 일대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4): 548-557
  17. 이병천, 윤충원(2002) 내연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5(3): 153-161
  18. 이창복(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10쪽
  19. 이호준(1992) 안면도 소나무림의 종조성파 군락특성. 건국대학교 이학논집 17
  20. 임경빈(2007) 신고 조림학원론. 향문사, 서울, 491쪽
  21. 정용문, 방의석, 조용현, 김현숙, 송호경(2006) 아산시 영인산의 산림군락 구조.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4): 60-66
  22. 홍성천, 변수현, 김삼식 (1987) 원색한국수목도감. 계명사, 서울, 310쪽
  2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ng, Wien, N. Y., 865pp
  24.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c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Walter, H. (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136pp. Stuttgart
  25.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New York, 525pp
  26. Spurr S. H. and B. V. Barnes(1980) Forest Ecology, 3rd ed, Wiley, New York, 603pp
  27. Water, H. (1979) Vegetation of the Eat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2nded. Springer-Verlag, New York, 274pp
  28.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1978) The Braun-Blanquer approach. In: Whittaker, R.H. (Ed.)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Boston: Junk, PP. 617-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