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력 회복을 위한 감각 모달리티 별 피드백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feedback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sensory modality for attention recovery

  • 현혜정 (계명대학교 게임.모바일콘텐츠학과) ;
  • 황민철 (상명대학교 디지털미디학과)
  • 발행 : 2007.05.30

초록

한정된 주의력 자원을 회복시키기 위한 방법 중 피드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피드백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집중력 회복의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집중력을 회복할 수 있는 감각적 자극 중 정서적 피드백 간의 효과 차이를 분석 하였다. 집중력을 평가하기위한 온라인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각, 청각, 촉각 피드백 자극을 제시하여 각각의 감각자극과 집중력 회복의 효과를 분석 하였다. 실험 참여자의 감각 피드백의 선호도에 따른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후 주관적 설문을 실시하였다. 감각 피드백을 6명의 대학원생에게 일주일에 걸쳐 반복적으로 약200개의 자극을 제시하고 5회 이상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30회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피드백 효과가 집중력 회복에 통계적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feedback on attention recovery. The role of feedback has been proven to be positive in particular to extend the limitation of attention resource. We studied the impact of feedback on attention by varying its type and modality. An experimental system was developed to observe how accurate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pattern-matching task with differential feedback provided on a real-time basis based on the ADHD diagnostic model. Six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6 different feedback conditions and controlled condition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feedbacks before experiment. They was asked two hundred tasks in four feedback conditions. The difference of feedback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modality is to find within a subje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bined feedback of cognitive with perceptual stimulus l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mbined of perceptual feedback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