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Port Pollution

환경의 환경오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송계의 (동서대학교 국제관계학부) ;
  • 한철환 (동서대학교 국제관계학부)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Recently, International institution such as IMO and major maritime countries have introduced various regulations and steps to reduce port pollution. However,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ports is not sufficient for Korean policy makers and port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lutions to port pollution problems and suggests some implications to Korean ports to become a green port. To this aim, necessity of regulat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port operation; literature survey on port's environmental pollution; current conditions of international port pollution; various regulations and policies governing major ports are conducted in this paper.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ir pollution from ship can be reduced by providing electric power at docks while at berth, Second, in case of cargo-handling equipment, retire old equipment and switch to cleaner fuel such as low-sulfur fuel and diesel emulsions. Third, offering incentives for the installation of pollution controls and minimizing idling by enforcing idling limits or by installing idle shutoff controls can be recommended for reduction of air pollution of truck and rail at ports.

최근 들어 항만은 국가 및 지역경제의 중심지로 역할하고 있는 동시에 연안 도시권의 주요 환경오염원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국제해사기구를 비롯한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에서는 항만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규제조치들을 도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정부의 환경오염 방지 노력은 주로 육상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에 대한 규제 일변도로 진행되어 옴에 따라 항만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만 환경오염 규제의 필요성, 항만 환경오염에 관한 국내외 문헌조사, 세계 주요 항만의 환경오염 실태, 그리고 각국의 항만 환경오염 저감방안 등을 고찰함으로써 국내 항만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선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박 중인 선박에 대해 육상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며, 하역장비의 경우 노후장비는 신형으로 대체하는 한편 청정연료 사용 및 배출가스 저감장치 등을 설치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레일러 및 기차의 경우 공회전 제한 및 차량 현대화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