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선물류클러스터의 구축방안 - 인천송도경제자유구역을 대상으로

Proposal of the fresh logistics cluster for Songdo FEZ

  • 손병석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전일수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송인석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발행 : 2007.03.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수입 식품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서 식품의 수입, 보관, 배송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신선물류클러스터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선물류클러스터를 인천송도경제자유구역에 구축함으로써 기대되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 향후 신선물류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관련 주체의 역할과 함께 정책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선물류시스템을 정의하고 분석하여 보다 구체적인 신선물류클러스터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신선물류클러스터 구축의 경제적 효과를 부가가치와 물류비 절감효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신선물류클러스터를 인천송도경제자유구역에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관련 법률을 검토하고 일관성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신선물류라는 조금은 생소한 분야의 연구로서 선행연구의 검토, 관련데이터 수집 등에 있어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다. 하지만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신선물류와 신선물류클러스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기를 희망한다.

Recently, the fresh logistics recognizes to be created the high value-added part for logistics companies. Because the fresh logistics, which provides the system of temperature control and sanitary management, is able to be created more better high value-added products than the existed logistics system. In this research, we suggest the fresh logistics cluster for the proposal of activation in the field of food industry, which apply good activity for fresh logistics, and show the present condition and matters domestic fresh logistics market. This study did analyze the status & volume of perishable cargo which come from the imported Chinese fresh products representatively, at Incheon port and assume to build the fresh logistics cluster complex at Songdo FEZ, which is available developing and located near by Incheon port. The actual intensive study should be progressed for Korean logistics companies in order to optimize to the suitable fresh logistics system, need to set up the policy and management of statistical data concerning fresh logistics syst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