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십자인대 파열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 양상 - 파열부위 및 형태의 분석 -

Appearance of Meniscus Tear Associated with ACL Rupture - Analysis of Location and Type of Meniscus Tear -

  • 이영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남일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문기혁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윤호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김재철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 안길영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
  • Lee, Yeong-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Nam, Il-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Moon, Gi-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Yun, Ho-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Kim, Jae-Cheo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Ahn, Gil-Ye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발행 : 2007.03.31

초록

목적: 전방 십자 인대 파열 시 동반되는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반월상 연골의 파열 부위 및 파열 형태 등을 분석하여 반월상 연골 파열이 봉합 가능한 부위인지를 예측하고 준비하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전방 십자 인대 파열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7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열의 기준은 수상일로부터 12개월 이내에 수술한 경우로 하였으며 반월상 연골 파열 부위 및 형태를 술 전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 소견 및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시행한 관절경 소견을 종합하여 분류 하였다. 결과: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은 78예 중 50예 (64%)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이 동반되었으며 외측 반월상 연골파열이 32예,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이 24예 이었고, 그 중 6예 에서는 양측 반월상 연골 파열이 동시에 있었다. 파열의 형태는 종주 파열이 30예 (53%)로 가장 많았고, 파열의 부위는 방사상 구역(radial zone)에 의하면 후각부 파열이 35예 (62%)이었고 환상 구역 (circumferential zone)에 의하면 red-red 구역이 22예 (39%)로 가장 많았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는 경우 반월상 연골의 종주 파열이 가장 많았으며 이 들은 주로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로 치유될 가능성이 있는 부위의 파열이었다.

Purpose: We analyzed the location and type of meniscus tear associated with ACL rupture in order to estimate and prepare whether the meniscus tear is in a repairable 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78 cases who had ACL reconstructive surgery due to ACL rupture. We set the period of acute injury on the basis of under 12 months after trauma. The location and type of meniscus tear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MRI findings and arthroscopic findings. Results: The 50 cases of meniscus tear were detected out of the 78 ACL rupture;32 cases were lateral meniscus tears, 24 were medial meniscus tears and 6 cases were both menisci tears. From a total of 56 meniscus tears, 30 cases were longitudinal tears, 22 cases were red-red zone tears and 35 cases(62%) were posterior horn tears. Conclusion: The most common type of meniscus tear associated with ACL rupture war longitudinal tear at the red-red zone or meniscosynovial junction. Majority of the tears located at that place can be heal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rthroscopic meniscus s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