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Hair Art by motifs Goddess

신화(神話)를 Motif로 한 Hair Art 연구(硏究)

  • 이현진 (서정대학 피부미용과) ;
  • 박은정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Arts is the expression of reasoning and conscious life of human and arouse human the concept of existence, utmost emotion and excellent thoughts. Also it makes humans life very abundant. I make it come first to get rid of the art thirst on the opposite sight of technical one for hair as on part of humans body. Next purpose is that to confirm the esthetic value of 'hair arts' by solidify the academic ground of beauty arts through creating 'hair arts' works and learning and make the direction for the beauty industry and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Greek myth(the background and develop)and the hair styles of ancient Greek Goddesses. On the basis of that symbols I elaborated hair formative works made of metal and studied, analyzed and displayed that. Work No.1 'Aphrodite' is the sculpture showing the win of love which animated. I formed it very active and vigorous. Next 'Birth of Venus', No.2, involves fineness and freshness. 'Fear of Medusa', the third piece, displays the very second when medusa was executed as a beautiful and active scene not a scary one. And lastly in 'Lovely Medusa' Medusa finally find the stability and it was expressed her beautiful and shining hair. So this study conducted based on the concept of practical hair and have made efforts to be close to theoretical manufacturing research needed at making hair arts works and academic one needed at organic design composition for pioneering new field, 'art hair.' I hope these 'hair arts' works make creativity of the practise hair alive. It will be very thankful to me if this study can help even though slightly for splendid beauty arts to make its status firm as a one part of arts, and there are following studies.

Keywords

References

  1. E.H.곰브리치저, 백승길.이종승역(2003), 서양미술사,서울:도서출판 예경, p32
  2. 최은숙(2007), 헤어아트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연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4
  3. 안문경(2007), 동선을 이용한 헤어아트 조형성 연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
  4. 이진성(2004), 그리스 신화의 이해, 서울:아카넷, p.24
  5. 윤일권.김원익(2004), 그리스 로마 신화와 서앙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p.17
  6. 이진성(2004), 그리스 신화의 이해, 서울:아카넷, p.26
  7. 아리안 에슨 저 류재화 역(2002), 신화와 예술, 서울: 청년사, p.33
  8. 이진성(2004), 그리스 신화의 이해, 서울:아카넷, p.186
  9. 이진성(2004), 그리스 신화의 이해, 서울:아카넷, p.185
  10. 윤일권.김원익(2004), 그리스 로마 신화와 서앙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p.36
  11. 이윤기(2002), 그리스 로마신화 1, 서울 : 웅진닷킴, p.193
  12. 노성두(2000), 보티첼리가 만난 호메로,. 서울: 한길아트, p.194
  13. 심귀연(2005), 바우하우스 조형이론과 비달사순 헤어커트의 상관성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3
  14. 문재원(2004), 자연의 유기적 형태 표현에 관한 헤어디자인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4
  15. 심귀연(2005), 바우하우스 조형이론과 비달사순 헤어커트의 상관성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
  16. 문재원(2004), 자연의 유기적 형태 표현에 관한 헤어디자인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0
  17. 김가연(2003), 헤어디자인의 형태 도출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5
  18. 임연응(1994), 현대디자인론, 서울:학문사, p.361
  19. 문재원(2004), 자연의 유기적 형태 표현에 관한 헤어디자인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7
  20. 김가연(2003), 헤어디자인의 형태 도출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7
  21. 문재원(2004), 자연의 유기적 형태 표현에 관한 헤어디자인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8
  22. 김명석(1993), 제품의 시각적이미지와 감성요소에 관한연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21
  23. 문재원(2004), 자연의 유기적 형태 표현에 관한 헤어디자인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9
  24. 문재원(2004), 자연의 유기적 형태 표현에 관한 헤어디자인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9
  25. 문재원(2004), 자연의 유기적 형태 표현에 관한 헤어디자인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1
  26. 임옥주(2002), 동합금의 재료적 특성과 그 조형적 해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