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nsitivity of Marker Set and Knee Joint Centre on Knee Angles during Cutting Movement

방향 전환 달리기 동작시 마커 정의에 따른 슬관절각 비교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각 분절의 마커세트와 무릎관절 중심 정의가 3차원 무릎 관절각을 산출하는데 얼마나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자료수집은 1명을 실험대상자로 하여 두 가지 형태의 각기 다른 분절의 정의와 무릎관절의 중심을 나타내는 반사마커들을 동시에 오른쪽 하지에 부착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의 달리기동작 중 좌측으로 45도 방향전환동작의 지지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8대의 고속카메라들을 이용하였고 달리기속도는 4m/$sec{\pm}(10%)$로 통제하였다. 하지분절의 발분절에는 하나의 마커세트를, 정강이와 대퇴분절에는 두 가지의 다른 마커세트들을 부착시켰다. 발분절에는 3개의 마커를 신발의 뒷부분에 부착하였고 정강이분절을 정의하기 위하여 첫 번째 마커세트는 경골을 중심으로 3개의 마커들을 두 번째 마커세트는 비골을 중심으로 3개의 마커를 부착하였다. 대퇴분절의 마커세트를 정의하기 위하여 첫 번째 마커세트에는 대퇴골을 중심으로 3개의 마커를 두 번째 마커세트에는 대퇴근육을 중심으로 3개의 마커들을 부착하였다. 무릎관절중심을 정의하는데 두 가지 다른 정의가 적용되었다. 첫 번째 무릎중심을 무릎의 내측과 외측의 마커들을 통해 두 마커의 중심을 무릎관절의 중심으로 정의하였다. 두 번째 무릎중심정의는 무릎의 외측부분과 슬개골의 중심에 부착된 마커들로부터의 교차점을 무릎관절중심으로 산출하였다. 무릎관절의 각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JCS(Joint Coordinate System)의 정의가 적용되었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두 가지의 다른 분절마커세트 사이에서 무릎의 신전(extension)과 굴곡(flexion)은 유사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최대 무릎굴곡(peak knee flexion)각에서 $4.746^{\circ}$의 차이를 나타냈다. 다른 분절마커세트 사이의 회전(rotation)각과 내전(adduction)/외전(abduction)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내었고, 두 마커세트간 최대무릎외측회전(peak knee external rotation)각도에서는 $15.628^{\circ}$의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각 분절마커세트 내에서 두 가지의 다른 무릎관절 중심의 정의가 얼마나 무릎도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했을 때 무릎의 최대외측회전(peak external rotation)각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첫 번째 분절마커세트의 무릎관절중심정의의 형태변화에 따라 최대외측회전각은 $0.549^{\circ}$의 차이를 나타냈고, 두 번째 분절마커 세트에서 무릎관절중심정의의 형태변화에 따라 최대외측회전각은 $0.309^{\circ}$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분절을 나타내는 마커세트와 무릎관절중심정의의 형태변화에 따라 무릎간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결과가 다르게 산출되었다. 즉, 관절각의 계산이 분절에 부착되는 마커의 정의 혹은 위치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연구자가 여러 실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시 마커세트 혹은 마커들을 동일한 위치에 가깝게 부착하는 것이 마커부착으로부터 발생하는 실험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appozzo A., Catank F., Leardini A., Benedetti M.G., and Della Croce U.D. (1996). Position and orientation in space of bones during movement: experimental artifacts, Clinical Biomechanics, 11(2), 90-100 https://doi.org/10.1016/0268-0033(95)00046-1
  2. Cole G., Nigg B., Ronsky J., and Yendon M. (1993). Application of the joint coordinate system to three-dimensional joint attitude and movement representation: A stan- dardization proposal, Journal of Biomechanical Engineering, 115, 334-349
  3. Grood E. and Suntay W. (1983). A joint coordinate system for the clinical description of there-dimensional motion: Application to the knee, Journal of Biomechanical Engineering, 105, 136-144 https://doi.org/10.1115/1.3138397
  4. Malinzak R.A., Colby S.M., Kirkendall D. T., Yu B., and Garrett W.E (2001). A comparison of knee joint motion patterns between men and women in selected athletic tasks, Clinical Biomechanics, 16(5), 438-445 https://doi.org/10.1016/S0268-0033(01)00019-5
  5. McLean S.G., Lipfert S.W., and Van Den Bogert A.J. (2004). Effect of gender and defensive opponent on the biomechanics of sidestep cutting,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6(6), 1008-1016 https://doi.org/10.1249/01.MSS.0000128180.51443.83
  6. Pollard C.D., Davis I.M., and Hamill J., (2004). Influence of gender on hip and knee mechanics during a randomly cued cutting maneuver, Clinical Biomechanics, 19, 1022-1031 https://doi.org/10.1016/j.clinbiomech.2004.07.007
  7. Soderkvist I and Wedin P. (1993).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skeleton using well-configured markers, Journal of Biomechanics, 26, 1473-1477 https://doi.org/10.1016/0021-9290(93)90098-Y
  8. Veldpaus F., Woltering H., and Dortmans L. (1988). A least-squares algorism for the equiform transformation from spatial marker coordinates, Journal of Biomechanics, 21, 45-54 https://doi.org/10.1016/0021-9290(88)9019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