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tray Current Interference between Underground Pipelines and DC Electric Railways

매설배관과 직류전기철도의 표유전류 간섭분석

  • Ha Y.C. (Underground Systems Group, KERI) ;
  • Bae J.H. (Underground Systems Group, KERI) ;
  • Ha T.H. (Underground Systems Group, KERI) ;
  • Lee H.G. (Underground Systems Group, KERI) ;
  • Kim D.E. (Underground Systems Group, KERI)
  • 하윤철 (한국전기연구원 지중시스템연구그룹) ;
  • 배정효 (한국전기연구원 지중시스템연구그룹) ;
  • 하태현 (한국전기연구원 지중시스템연구그룹) ;
  • 이현구 (한국전기연구원 지중시스템연구그룹) ;
  • 김대경 (한국전기연구원 지중시스템연구그룹)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When an underground pipeline runs parallel with DC electric railways, it suffers from electrolytic corrosion caused by the stray current leaked from the railway negative returns, i.e., the rails. Perforation due to the electrolytic corrosion may bring about large-scale accidents even under cathodically protected condition. Traditionally, drainage bonding methods have been widely used as a mitigation method for stray current interference. In particular, the increased adoption of forced drainage method to gas pipelines makes the interference much more sophisticat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lectric interference between pipelines and railways from the results of field investigation carried out in Seoul and Busan.

가스배관, 상수관, 송유관 등의 지중 매설배관이 직류 전기철도와 인접해 있는 경우, 전기철도 시스템의 귀선 회로로 사용되는 레일에서 누설되는 표유전류에 의해 이들 금속배관에는 전기적 부식, 즉 전식이 발생할 수 있다. 전식에 의한 집중 부식은 전기방식으로 보호되는 배관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재료의 열화와 이에 따른 파손을 일으킬 수 있어 대형사고로 발전할 소지를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표유전류에 대한 대책으로 배관과 레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류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가스배관을 중심으로 한 강제배류법의 급속한 증가에 의해 간섭문제가 매우 복잡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류전기철도시스템과 매설배관 사이의 전기적 간섭 문제를 서울과 부산 지역에서 수행한 현장 실태조사의 결과를 통해 살펴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