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Parameter Estimation of Settling and Erosional Properties for Cohesive Sediments in Shihwa Lake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침식 특성 매개변수 산정에 대한 실험적 연구

  • 류홍렬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황규남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공업기술연구센터)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settling and erosional properties for cohesive sediments in Shihwa lake. Settling tests are conducted by multi-depth method using a specially designed 1.8 m tall settling column, and erosion tests are conducted with annular flume under the uniform bed condition. As result of settling tests, it is confirmed that the settling velocity of the cohesive sediments has the range of $0.002 for suspended sediments concentration of 0.1$0.19{\sim}0.55N/m^{2}$ for bed shear stress of $1.14{\sim}1.32g/cm^{3}$, and the erosion rate coefficient decreases with logarithmic function in a range of $18.4{\sim}3.9mg/cm^{2}{\cdot}hr$ with increase of bed shear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 및 침식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침강특성은 특수 제작된 1.8 m의 침강수주를 이용하여 multi-depth 부유사 농도 채취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침식특성은 전북대 환형수조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밀도를 갖는 균일저면 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침강실험의 결과로서,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은 부유사 농도값이 0.1$0.002의 침강속도 값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식실험의 결과로서 저면밀도를 $1.14{\sim}1.32g/cm^{3}$로 변화 시켰을때, 침식한계전단응력은 $0.19{\sim}0.55N/m^{2}$으로 증가하였으며, 침식률계수는 $18.4{\sim}3.9mg/cm^{2}{\cdot}hr$의 범위로 감소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용철 (1997).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한국해양학회, 국립수산진흥원
  2. 이재연 (2001). 새만금 해역 갯벌 퇴적물의 침강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3. 이현승 (2003). 군산해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4. 천민철 (2003). 군산해역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강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5. 황규남 (2000). 새만금 갯벌퇴적물의 침강속도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0(2-B), 277-286
  6. 황규남, 소상돈 (2002). 환형수조를 이용한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 조사. 한국 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1075-1080
  7. 황규남, 조용식, 이태환 (2002). 새만금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강특성 :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영향. 한국수자원학회지, 35(5), 475-484
  8. 황규남, 소상돈, 김태민 (2005).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률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7(2), 119-128
  9. Ariathurai, R. and Arulanandan, K. (1978) Erosion rates of cohesive soils. J. Hyd. Div., ASCE. 104, HY2, 279-283
  10. Choi, J.H. (1981). Recent clay minerals in the Kunsan estuary and the adjacent continental shelf. M. Sc. Thesis, Dept. of Oceanography, S.N.U
  11. Hwang, K.-N. (1989). Erodibility of fine sediment in wave-dominate environment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Florida
  12. Mehta, A.J. (1986). Characterization of cohesive sediment properties and transport processes in estuaries, Estuarine Cohesive Sediment Dynamics. A.J. Mehta ed., Springer-Verlag, Berlin, 290-325
  13. Ross, M.A. (1988). Cohesive sediments in estuarine environment. Ph.D. Dissertation, Univ. of Florida, Gainesville, FL
  14. Shields A. (1936). Anwendung der Ahnlichkeitsmechanik und Turbulenzforschung auf die Geschiebebewegung. Mitteil. Preuss. Versuchsanst. Wasser Erd. Schiffbau, Berlin, No.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