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Drought Monitoring System: II. Quantitative Drought Monitoring and Drought Outlook Methodology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II. 정량적 가뭄 모니터링 및 가뭄전망기법 개발

  • Lee Joo-He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
  • Jeong Sang-Man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DPRC,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ea-Ha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o Yang-Soo (Department of Investigation & Planning,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이주헌 (중부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
  • 정상만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방재연구센터) ;
  • 김재한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고양수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In this study, Combined Drought Index which can monitor the drought severity and intensity has been developed using PDSI, SPI and MSWSI. To verify the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combined drought index, Drought map of Korea using the combined drought index has compared with past drought event. Drought map using the combined drought index shows good accordance with past drought event and accurate quantitative drought monitoring results. Also the drought outlook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using the weather forecast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Drought outlook technique of this study can be used effectively as a primitive stage tool for real time drought forecast. As a result of this study, Integrated drought monitor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which has capabilities of producing and generating the drought monitoring map and drought outlook map as well as various kinds of drought related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PDSI, SPI, MSWSI 등의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을 단계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통합가뭄지수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통합가뭄지수에 의해 작성된 한반도의 가뭄도를 과거 가뭄과 비교 검증한 결과 매우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통합가뭄지수가 가뭄을 정량적으로 모니터링 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상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온, 강수량의 장 단기 예보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지수의 예측치를 산정 한 후, 미래에 가뭄상황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에 대한 가뭄전망기법을 개발하였으며 한반도 전역에 대한 실시간 가뭄전망이 가능하도록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뿐만 아니라 가뭄기초 자료 관리, 가뭄지수 산정 및 가뭄현황도 작성 등 종합적인 가뭄정보 분석을 위한 가뭄 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여 웹을 통하여 일반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5).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 (2002).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3. 기상청(KMA) 홈페이지. http://www.kma.go.kr
  4. 김상민, 박승우 (1999). '우리나라 주요 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41권, 제5호, pp. 43-52
  5. 김선주, 이광야, 신동원 (1995). '관개용 저수지의 한발 지수 산정.'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6호, pp. 103-111
  6. 류재희, 이동률, 안재현, 윤용남 (2002).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5권 제4호, pp.397-410 https://doi.org/10.3741/JKWRA.2002.35.4.397
  7. 변희룡, 임병환 (2000). '한반도의 가뭄주기와 이를 이용한 2000년도 가뭄의 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3권 S1호, pp.304-314
  8. 윤용남, 안재현, 이동률 (1997).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4호, pp.317-326
  9. 이동률 (1998). 한국과 미국대륙의 가뭄에 대한 엘니뇨의 영향,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건기연 98-07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이동률 (1999) '엘리뇨/남방진동과 한국의 가뭄과의 관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32권, 제12호, pp. 111-120
  11. 이동률, 이대희, 강신욱 (2003) '가뭄 경보기준과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3호, pp. 375-384 https://doi.org/10.3741/JKWRA.2003.36.3.375
  12. 최영진 (1995). '가뭄의 원인과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지, 제28권, 제1호, pp. 16-20

Cited by

  1. A multimodel assessment of the climate change effect on the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vol.27, pp.19, 2013, https://doi.org/10.1002/hyp.9390
  2.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in Korea - Focusing on Drought Frequency Analysis in the Five Major Basins - vol.48, pp.12,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12.1011
  3. Analysis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spatial and frequency patterns of drought using a potential drought hazard mapping approach vol.34, pp.1, 2014, https://doi.org/10.1002/joc.3666
  4. The weakening of autumn drought intensity in Korea after late 1990s vol.70, pp.1, 2018, https://doi.org/10.1080/16000870.2018.1429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