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eds and Consciousness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농촌노인의 노인공동주거에 대한 의식 및 요구

  • 최병숙 (전북대학교 아동. 주거전공,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 오찬옥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유니버설디자인연구소) ;
  • 홍찬선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농촌지역연구실) ;
  • 박선희 (전북대학교 아동. 주거전공,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 박정란 (인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housing needs of the elderly who lived in rural area and suggest the planning directions of the housing for the rural elderly. The subjects were 192 elderlies who lived in the rural area in Gyeongnam and Chonbuk. They were selected by using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lso the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rural elderly had some problems in their health. Thus, the housing for them should be planned on the basis of their health conditions. 2) The rural elderly had active interaction with their neighborhoods. Therefore, the housing for them should be planned for maintaining this active relation. 3) The rural elderly has lived in their housing for long time and wanted to live there as long as possible. This implies that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issues in the rural housing for the elderly. 4) Even though many rural elderlies didn't know about the planned hou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y had intentions to live in there if they were provided in rural area. 5) The rural elderly preferred the monthly payment system or the life long payment system as the payment system of the planned hou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Also, they wanted that facility to be maintained by the government. 6) The detached housing type or three story townhouse type which is located in each rural village as small size would be desirable as the housing for the rural elderly. 7) The 10-30 pyung would be desirable as the size of housing unit. Also, 2-6 persons per room in case of sharing a bedroom. 8) Ondol-bang would be desirable however the size of the bedroom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using the bed.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숙(2003), 농촌형노인주간보호시설 모형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연호(2002). 독립생활을 위한 노인주거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경란. 오찬옥. 조현. 김희년. 김진홍(2003). 지역사회 노인서비스 연구. 진영문화사
  4. 박대식. 정명채. 송미령. 심재만. 조흥식. 최준렬(2004). 농산어촌 복지 . 교육 . 지역개발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및 실태조사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박대식. 정기환. 최경환. 허장. 조흥식. 남기철(2001). 농촌복지증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박윤호 외 7인(2003). 농촌경관주택 정책 및 마을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농림부 .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7. 보건복지부(2005). 2005년도 노인복지시설현황
  8. 송석전(2003).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의식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금순(2002). 농촌지역 재가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유성호(2004). 유료노인복지회관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1. 유성호(2001). 노인복지관 이용실태에 대한 분석. 한국노년학. 한국노년학회
  12. 이성국(2005), 농촌의 초고령화와 건강관리 방안, 농촌주민의 초고령화 대응방안 시포지엄 자료집, 농촌진흥청,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5-27
  13. 이희승(2004). 농촌지역 노인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임상봉. 홍찬선. 유상건. 이한성. 김형일(2004). 농촌생활 환경정비 및 소득원 개발사업의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방향연구(II) - 생활환경정비를 중심으로,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15. 조남규(2003).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에 대한 의식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청양군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한정자. 한경혜. 모선희. 유성호. 김양희(2002). 농촌지역 노인복지실태와 개선방안연구. 한국여성개발연구원. 농림부
  17. 홍성태(2001). 농촌노인의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강릉시의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강릉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홍찬선. 최병숙. 박선희. 박정란. 오찬옥. 전병관(2005). 노인복지를 고려한 농촌마을 주거환경 개선방향에 관한 조사연구. 2005 KSRP/RPA(JAP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Rural Amenities
  19. Hardly. R. and S. Hatch(1981). Social Welfare and Failure of the State: Decentralized Social Service and Participatory Altern George Allen and Unwin
  20. 阿部志郞 편(1993). 小地域福祉活動の原点-金澤善隣館活動の過去 . 現在 . 未來-. 全國社會福祉協議構
  21. 財團法人 醫療經濟硏究 . 社會保險福祉協會(2001). 高齡者生活福祉セソタ一にぉける介護と居住機能のあり方に關する硏究報告書. 醫療經濟硏究機構
  22. 平岡公一(1984). イギリスたぉける對人サ一ビス供給システムの再編成の動き- パッチステムの實驗的 導入の事例. 海外社會保障情報 第68號
  23. 통계청자료: http://www.nso.go.kr/추계인구 2005년 7월 1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