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PKI 기반의 가상 식별자를 이용한 인증서 검증

Wireless PKI Based Certificate Verification Using Virtual Identifier

  • 최승권 (충북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 신정원 ((주)엠프론티어) ;
  • 신동화 ((주)다이퀘스트) ;
  • 김선철 ((주)신명전기공사) ;
  • 이병록 (충북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 조용환 (충북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발행 : 2006.08.01

초록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꾸준한 증가에 따라 무선환경에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서비스는 정보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요하고 기본적인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SMP에서 VID를 사용하여 통신의 과부하를 감소시키는 인증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보안과 실시간 처리, 기존 인증 방법에 대한 성능을 보장한다. 보안과 실시간에서의 성능은 인증자에 의해 인증 노드를 관리함으로써 보증되며 VID를 통해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In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that demand of wireless Internet service increase steadily, wireless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service is appearing on stage as necessary essential base 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 off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for verification to reduce the communication overload using VID to CSMP made with a goal of the performance guarantee for security and use in a real time and examine the existent certificate verification methods. The performance of security and the use in a real time is guaranteed by managing the note of authentification by the person who verifies and reducing the amount of the data transmission using VI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종후, 서인석, 윤혁중, 류재철, '무선랜 환경에서의 PKI 구축', 정보보호학회지, 제 13권, 제1호, pp.77-91, 2003. 2
  2. 정재동, '실시간 동기화를 위한 인증서 상태 관리프로토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
  3. D.Critchlow, N. Zhang, 'Security enhanced accountable anonymous PKI certificates for mobile e-commerce', Computer networks, Vol.45 No.4, pp.483-503, 2004. 3 https://doi.org/10.1016/j.comnet.2004.02.010
  4. 무선 PKI(Public key Infrastructure)기술기준 (안), 한국정보보호센터
  5. J. Dankers, R. Schaffelhofer, T. Garefalakis, T. Wright, 'PKI in mobile systems'. lEE TELECOMMUNICATION SERIES, Vol.51 No.2, pp.11-32, 2004
  6. P. MacKenzie, R. Swaminathan, Secure Network Authentication with Password Identification, Submission to IEEE P1363a, July,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