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이 인지하는 가족내 갈등과 건강보호행동으로서의 자아개념, 학교적응간의 인과관계분석

The Causal Relationship of Adolescent's Family Conflicts,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as Health Protection Behavior

  • 발행 : 2006.06.01

초록

Objectives: The school adjustment problems of the adolescence groups become more aggravated and are on the incre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intra-family conflicts,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as health protection behavior. Methods: The study setting is the adolescence groups.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68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causal relationship of intra-family conflicts,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firstly, the total effects of intra-family conflicts have a negative effect on self-concept(path coefficients=-0.080) and school adjustment(path coefficients=-0.107). And the self-concept factor as an intervening variable are affecting positively on school adjustment(path coefficients=0.411). Secondly, the economic conflicts, personaliy conflicts and social activity conflicts of father and mother among various family conflicts are more highly affecting on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p<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firs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is essential to solve the problems of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economic conflicts should be solved to improve the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a variety of programs are available for schools to employ in an effort to provid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ho demonstrate school adjustment. Finally, it is necessary for family, school and all the society members to comprehensively cooperate to solve family conflicts and school adjus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서, 김계수. 사회과학통계분석. SPSS 아카데미, 1998.쪽 254-259
  2. 강유진, 문재우. 청소년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요인의 영향. 한국 청소년 연구 2005;16(1):283-316
  3. 고정희. 어머니의 대화 형태와 아동의 성적 및 사회적 인지 능력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1
  4. 곽현근. 학교생활 부작용에 영향을 마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1
  5. 구인회.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2003;22:393-410
  6. 김관희.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7. 김민정.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 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석사학 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8. 김수현. 어머니-청소년 자녀간의 갈동에 관련된 변인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9. 김용희. 중학교 학교생활 부작용 과정과 요인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10. 김은숙. 부부갈등 및 부부관계 특성과 아동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성향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1. 김은애 외.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0;13(2):241-259
  12. 김정옥. 도시 부부의 폭력 행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7
  13. 김정희. 어머니와 자녀간의 커뮤나케이션 형태와 자녀의 자아 걔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1987
  14. 김지현. 일반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1
  15. 김현숙.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제주: 제주대학교 대학원,1999
  16. 노길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관계와 비행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7. 노상렬. 부부갈동이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2001
  18. 류경희. 창원시 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한국생활과학회지 2004;13(2):195-213
  19. 류경희.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대한가정학회지 2003;41(12):147-168
  20. 문선모, 윤기수. 학생의 배경적 특성과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학생지도연구 1997;4:56-67
  21. 민병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22. 박경란, 이영숙, 전귀연. 현대가족학. 신정, 2001
  23. 박근혜. 가정폭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 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24. 박미경. 부부갈등 및 아동학대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5. 박미주. 가정폭력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부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26. 박수영. 아동의 부모간 갈등 지각과 대처행동 및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27. 박연수.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8. 박재순. 중년후기여성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 [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29. 박현선. 고위험 빈곤청소년의 심려 사회적 적응. 한국사회복지학 1999;37:195-216
  30.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즉응유연성 발달메커니즘. 청소년학연구 1998;5(3):147-165
  31. 배기명. 고등학생의 가정환경에 따른 적응문제 및 적용기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남: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32. 백경숙, 권용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2004;6(2):87-99
  33. 백종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학교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남;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34. 변영인.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및 양육태도와 일탈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4
  35. 서명성.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 학원,1999
  36. 석현양. 의사전달과 청소년 자아개념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국민대학교 대학원, 1987
  37. 신나나, 도현심.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대한 부모-자녀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상호작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00;47:99-113
  38. 심미경. 청소년의 자가효능감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신성대학논문집 1999;5:447-467
  39. 안규복. 중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분석 [석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1986
  40. 양민철.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성적간의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전북: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5
  41. 우진영. 아동의 심리적 적응과 부부갈등, 부모-자녀 관계 사이의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42. 유상철.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 원, 1982
  43. 유안진, 이점숙, 서주현. 청소년의 부양양육행동지각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04;9(3):161-180
  44. 유영설.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기 자녀의 사회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0
  45. 유윤희.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간의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1994
  46. 이건용. 결손가정 청소년의 문제점과 그들을 위한 서비스 실태에 관한 연구-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4
  47. 이명숙, 김영미. 가족구조와 부모불화가 청소년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993;6(2):201-216
  48. 이민식.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면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 학교 대학원, 1999
  49. 이연숙. 가족체계 및 어머니-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 적응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전북: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1
  50. 이정순. 학생의 가정문화와 문화습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6
  51. 이정윤.이경아. 초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지 2004 ;16(2): 261-276
  52. 이진숙, 정혜경. 청소년자녀가 지각한 부모와 부부 관계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04;22(3) :47-61
  53. 이진숙. 청소년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및 부모에 대한 애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2
  54. 이진용. 어머니-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 세대학교 대학원, 1991
  55. 이현주. 가정불안, 학교태도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 홍익대학교 대학원, 1999
  56. 장상수. 교육기회의 불평등 :가족배경이 학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2000;34(3):671- 708
  57. 정미진. 부모간 갈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부적응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2005
  58. 정유진. 청소년 학교생활 적응의 관련요인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59. 조은정. 부모양육행동과 청소년 문제 대처 수준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5
  60. 주현정.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사회지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61. 최지은, 신용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2003;4(2):199-210
  62. 최지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2001
  63. 허은희 외.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효능감과의의 관계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8; 11(2)
  64. Bailey K. Method of Social Research. New York: The Free Prses, 1982
  65. Baral BN. Some factors causing breakdown of social adaptability amongst of higher secondary grade of West Bengal. In Psychological Abstract 1971;50
  66. Charters WW. The social background of teaching. In N. L. Gage(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Chicago: Rand McNally. 1963
  67. Cicchett D, Toth SL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st 1998;53:221-241 https://doi.org/10.1037/0003-066X.53.2.221
  68. DeBaryshe BD, Patterson GR, Capaldi DM. A performance model for academic achievement in early adolescent boys. Development Psychology 1993;29(5):795-804 https://doi.org/10.1037/0012-1649.29.5.795
  69. European Network of Health Promoting Schools. The health promotion school. 1997
  70. Gottman JM, Fainsilber-Katz L.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1989:25(3):373-381 https://doi.org/10.1037/0012-1649.25.3.373
  71. Grych JH, Finchanr FD.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Psychologicla Bulletin 1990;108(2) :267-2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8.2.267
  72. http://www.ksrc.or.kr/2006년 3월 23일자 검색
  73. Johnson EN, Barling J, O'Leary KD. Predicting child behavior problems in maritally violent famil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987;15:165-173 https://doi.org/10.1007/BF00916346
  74. Kazdin AE. Conduct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87
  75. Maccoby EE. Socialization and development change. Child Development 1984:55:317-328 https://doi.org/10.2307/1129945
  76. McLoyd VC, Wilson L. The strain of living poor: Parenting, social support, and child mental health. In A. C. Huston (Ed.), Children in poverty: Child development and public polic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1
  77. Miller GW. Factors in school achievement andsocial cla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70;64(4)
  78. Parker JG, Asher SR.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987:102(3):357-3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2.3.357
  79.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ce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35
  80. Rutter M. Studies of Psychological Risk: the Power of Longitudinal Dat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81. Steinberg LD. Latchkey-key children and susceptibility to peer pressure: An ecologic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1986:22:433-439 https://doi.org/10.1037/0012-1649.22.4.433
  82. Steinberg LD. Single parents step-parents, and the susceptibility of adolescents to antisocial peer pressure. Child Development 1987:58:269-275 https://doi.org/10.2307/1130307
  83. Stem SB, Smith CA, Jang SJ. Urban families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ocial Work Research 1999;23(1):15-26 https://doi.org/10.1093/swr/23.1.15
  84. Wilson H. Parental supervision A neglectedaspect of delinquency . Th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1980:20(3):20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