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oal Programming Model for Guard Soldier Scheduling

목표계획법을 이용한 경계부대 근무편성에 관한 연구

  • 김학영 (고려대학교 산업시스템정보공학과) ;
  • 류홍서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산업시스템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mixed linear and integer goal programming (GP) model to aid in strategic planning and scheduling of guard soldiers. The proposed model is a general-purpose model, hence can be used to produce an optimal schedule with respect to any user-provided combination of guard post objectives and soldier preferences. We extensively test the usefulness of the model on a real-life dataset from a guard post in the ROK Army with using three objectives set by the guard post and three preferences provided by individual solders. Numerical results and analysis from thes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guard scheduling model efficiently as well as effectively generates an optimal guard schedule and can also be used for an optimal revision of any existing schedule. In summary, these illustrate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practically used for optimal planning and scheduling of guard soldiers in guard posts.

본 연구는 최적화의 목표계획법을 이용하여 근무 편성권자가 경계병 근무계획시 의도하는 부대목표와 병사 선호도의 조합에 따른 최적 근무계획을 작성하는 보편적인 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의 실용성 및 우수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실제 경계부대의 자료와 다양한 부대목표(선 후임병의 조 편성, 교육훈련 균등할당, 분대 건제유지) 및 병사목표(근무량의 균등할당, 비번 편성, 선호병사와의 근무편성)를 사용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의 모형을 이용한 최적 경계근무명령서 작성과 우발적 상황에 따른 신속한 경계근무 재계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보였으며, 나아가 본 연구의 모형이 실제 경계부대 근무편성 문제해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zaiez, M.N., Sharif, S.S., 'A 0-1 Goal progranming for Nurse Scheduling,' Computees & Opecations Research, VoL. 32. Issue3, pp. 491-507, 2005 https://doi.org/10.1016/S0305-0548(03)00249-1
  2.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4
  3. 국방부 국회 국정제출 자료, '최근 5년간 발생한 총기사고 발생현황 및 사후조치 내역,' 2006
  4. 노우협,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간호사 업무 평준화 스케줄에 대한 연구(군 병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2004
  5. Warner, D.M., 'Scheduling Nursing Personnel according to Nursing Preference: A Mathematical Programming Approach,' Operations Research Vol. 24, No.5, pp.842-8'6, 1976 https://doi.org/10.1287/opre.24.5.842
  6. Lee, C.W., Kwak, N.K., 'Information Resource Planning for a Health-Care System Using an AHP-Based Goal Programming Method,' The Journal of the Operational Research Society, Vol.50, Nol2, pp.1191-1198, 1999 https://doi.org/10.2307/3010628
  7. Huarng, F., 'A Primary Shift Rotation Nurse Scheduling Using Zero-One Linear Goal Programming,' Computers in Nursing, Vol17. No 3, pp.135-144, 1999
  8. Kim, K.Y., Lee,Y.H, '집합분할모형을 이용한 운항 승무원의 승무경로 일정계획,' 한국경영과학회, 제 21권 1호, pp. 39-55, 2004
  9. Hwang, J.H., Park, C.H., '정수계획법과 휴리스틱 탐색기법의 결합에 의한 승무일정 계획의 최적화,' 한국정보과학회, 제8권 2호, pp. 195-205, 2002
  10. Jang, Y.C., Jun, G.U, '휴리스틱을 이용한 초계함급 함정의 정박당직근무일정계획,' 국방경영분석학회, 제31권 2호, pp.60-74, 2005
  11. Aickelin. U, White, P, 'Building Better Nurse Scheduling Algoritluns,' Journal Annals of Operntions Reseroch, Vol 128, No 1-4, pp.159-177, 2004 https://doi.org/10.1023/B:ANOR.0000019103.31340.a6
  12. Carter, M.w, Lapierre, S.D, 'Scheduling Emergency Room Physicians, 'Health Care Management Science, Vol 4, No 4, pp.347-360, 2001 https://doi.org/10.1023/A:1011802630656
  13. Aickelin, U, Dowsland, K, 'An indirect genetic algorithm foe a nurse scheduling problem, 'Computers and Operntions Research,Vol 31, Issue 5, pp.761 - 778, 2004 https://doi.org/10.1016/S0305-0548(03)00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