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전 불쾌기분장애 환자에서 증상과 기질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atology and Temperament in Patients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김성은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정현 (마음과마음 정신과의원) ;
  • 김덕만 (연세 필 정신과) ;
  • 박진균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기선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지웅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Kim, Sung-E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Lee, Jung-Hyun (Mind & Mind Psychiatric Clinic) ;
  • Kim, Deok-Man (Yonsei Feel Mental Health Clinic) ;
  • Park, Jin-Ky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i, Seon-Wa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im, Ji-Woo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발행 : 2006.06.15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기질 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병태생리 및 관련된 성격 경향을 이해하며 치료 응용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의해 월경전 불쾌기분장애로 진단된 28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TPQ, 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 등을 작성케 한 후,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결과 : 기질의 4가지 차원에 해당하는 점수를 독립 변인으로 하고, 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표준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증상은 Cloninger가 제시한 성격의 기질을 구성하는 4가지 요인 중 손해 회피(HA) 요인과 보상 의존(RD) 요인에 대하여 유의하였으며, 특히 손해 회피(HA) 요인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증상은 높은 손해 회피(HA) 요인과 낮은 보상 의존(RD) 요인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 월경전기증상 중 특히 정동 증상이 손해 회피(HA) 요인과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데, 이는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기질의 특성에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이는 향후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병태생리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The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ment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to understand symptomatolog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associated personality trait and to suggest therapeutic availability. Method : Twenty eight women, diagnosed as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by DSM-IV, were asked to complete the Korean version of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and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verity of premenstrual symptoms and the scores of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were calculated. Results : The severity of symptoms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as best explained by the harm-avoidance factor of the four dimensions of temperament. Conclusion : The symptoms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re well explained by the harmavoidance factor and the reward-dependence factor of four dimensions of the tempera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