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키 스미스 작품에서 신체기호의 의미 분석과 해석 - 를 중심으로 -

A Study Mean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Body Sign, Kiki Smith - On Pee Body -

  • 김성희 (시립인천전문대학 문화정보디자인)
  • 발행 : 2006.12.31

초록

인간의 신체는 단순한 육체적 몸을 넘어서 온갖 삶의 역사를 담은 상징체이다. 특히 예술 표현을 위해 신체를 사용하는 수많은 예들을 통해 볼 때, 즉 예술의 대상으로서 신체를 포착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신체 행위를 드러내거나 간에 시간과 장소를 포함한 삶의 지시체와 같은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신체에 대한 입장은 사실 그리 오래된 관점이 아니다. 1960년대 이래 이성과 사유의 힘을 중심화 하던 모더니즘의 사유 패러다임이 쇠퇴하고 감성과 감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오랜 동안 정신의 시녀였던 신체가 탈분화적 관점에서 하나의 실체로서 주목하게 되면서부터이다. 이는 현대미술의 흐름에서 1940년대 이후 액션페인팅(Action Painting)에서부터 신체행위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1960년대 액셔니즘(Actionism)과 플럭서스(Fluxus)의 빈번한 퍼포먼스(Performance)에서 신체는 표현의 중요한 매체가 되었다. 이브 클랭(Yves Kline)의 신체와 그 흔적에 의한 개념적 작업에서 시작되어, 1970년대 본격화된 바디아트(Body Art)에서 신체는 보다 확고한 예술의 매체로 부각된다. 이후 1980년대 만개한 페미니즘(Feminism)과 1990년대 파편화되고 해체된 신체미술의 경향들로 이어졌다. 이러한 흐름에서 볼 때 신체는 지시적 의미의 단계를 넘어서 개인의 정체성으로부터 세계상을 함축하여 드러낼 수 있는 단서로 간주된다. 특히 1980년대 이후 페미니즘(Feminism)적 경향의 키키 스미스(Kiki Smith)는 신체의 확장된 의미를 제시해주는 대표적 작가들로 그들의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키키스미스의 작품 세계를 고찰하기 위해, 신체를 통해 의미의 지평이 열리는 객관적 방법을 모색한 결과, 기호학과 신체론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즉 신체를 객관화하여 가장 기초적인 수준에서 표현적인 부분과 내용적인 부분을 구조적으로 나누어 그 관계에 의해 의미가 발생하게 되는 과정을 기호와 텍스트의 개념에서 시작하였다. 나아가 이 표현면과 내용면의 구조적인 결합방식을 그레마스(A. J. Greimas)의 구조의미론에서 다룸으로써 의미의 확장을 위한 토대론적 작업을 구축하였다. 한편, 신체론에서는 세계와의 관계항으로서 신체를 조망하게 해준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현상학(Phenomenology)과 애브젝션(abjection)의 개념을 통해 해체와 파편의 신체를 전달하게 해준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논의가 구조의미론적 분석을 해석으로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키키 스미스는 1980년대 중반 죽음에 대한 서사에서 시작된 이중화와 파편화의 신체로부터 상처받을 수 있는 신체의 비천함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1990년대 그리고 상처의 치유에 이르는 종교와 신화로 이어지는 2000년대 이후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The terminology "human body" simply means a physical body but also more often, as an object in art works, carries symbolic concepts incorporating the whole history of human lives. Human body has been employed as an artistic object capturing physical body, delivering artist's idea expressing life indicators from different standpoints of times and places. This point of view about human body in art works has in fact rather short history since 1960's when modern thinking paradigm focusing upon rationality and reasoning has begun declining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body used to be the servant of the mind and soul for a long time has begun attracting artist's attention as a real entity from the viewpoint of dichotomy. During the 1960's, frequent performances in Pop art and of Fluxus showed that the human body has been an important media for artistic communication after importance of body performances had been raised in Action painting in 1940's. The human body became a more determined media in body art works that had got into stride after Yves Kline's conceptual works applying body and its traces. These kinds of art works have continued and consolidated into the Feminism came into blossom in 1980's and into fragmentated and disembodied body art trend in 1990's. Through development of trends in body works, human body now might well be regarded as a clue provide from individual identity with implication over the world. This thesis is to analyse in semiotic way main works of Kiki Smith who is a representative artist devoting to Feminism and proposing extended significance of human body. In the analysis process of works done by two great artists with histrorical background of art trend in order to find and open an significance horizon of human body, semiotics and bodism are therefore perceived as pertinent and applied as basic tools. The first stage of analysis is to get the significances emerged in between expression part and contextual parts, which are separated structually from the most basic level. The study deals with body works furthermore in the way of structual cohesion of the expression and the context from the view of A J. Greimas' Structural Semantics and tried to build up a basic frame for the extended significances of human body. This thesis is, on the other hand, to attempt to contribute for extension of disembodied and fragmentated body discussed in the structural semantic frame earlier by Julia Kriesteva who delivers abjection concepts and 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 who enables to overview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world from the viewpoint of Bodism, further into interpretation level. The other works are Kiki smith's that showed epics about death in mid-1980's, detailed humbleness of vulnerable human body exposed to dichotomy and fragmentation in 1990's and religion and mythology incorporating wouln healing in 2000's and henceforth. Through the analysis of Kiki Smith's representative work 'Pee body', it is verified and confirmed that fragmentated body showed beyond boundary gap of the human body and ultimately tends to imply human healing owing to divine maternity. Bodily symbols in Kiki Smith's are extended to the universal world to imply human life and death on the one hand and religion and mythology of human wound and divine healing one the other hand. This thesis through these process and results of analysis is in a broad context, to emphasize that human body as objectified text has a key indicator role to understand world as well as semiotic extension in art works in late 20th century so that we might confirm bodily symbol as a cultural context constitutes a section of contemporary visual ar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