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and Perceived Utilitarian Value of Internet Shopping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인터넷 쇼핑에서의 플로우 경험과 실용적 가치 지각이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is study recognizes that individual's experience is important in change over Internet fashion consumers to Internet users, and find out fashion consumer's flow experience in Internet shopping of the fashion merchandise.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flow experience and perceived utilitarian value have an effect on Internet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To fulfill this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ut from June 20 to July 30 in 2005, and an subject of study was married women aged from 20s to 30s in purchase experience of the fashion merchandise to Internet shopping malls. Data collected over the Internet, and analyzed the 306 subject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3 hypotheses were accep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married women aged from 20s to 30s in purchase experience of the fashion merchandise to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skilled Internet enough to regarding Internet shopping as an easy thing, and was challenged in Internet activity. Their Internet skills, challenges and interaction had an effect on flow experience and perceived utilitarian value. Therefore, the more Internet skills, challenges. and interaction were higher, the more flow and utilitarian value about Internet shopping was higher. Second, a married women aged from 20s to 30s were high-purchased group of the fashion merchandise to Internet shopping malls, and had a repurchase inten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within the purchase experience of the fashion merchandise. Their flow experience and perceived utilitarian value had an effect on Internet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Therefore, the more flow experience and perceived utilitarian value were higher, the more Internet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was higher.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소. (1999). 인터넷 사용 시의 flow 경험과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의도와의 관계모형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12(1), 197-225
  2. 김용만, 김동현. (2001). 인터넷 쇼핑몰 특성에 의한 쇼핑가치와 고객유지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8, 1-27
  3. 김훈, 권순일. (1999).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구매의사 결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학연구. 28(2), 353-371
  4. 류은정. (2002). 인터넷 소비가치가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서비스 품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2(3), 161-169
  5. 류은정, 조오순. (2005). 인터넷 쇼핑가치가 의류제품의 인터넷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쇼핑몰 속성지각과 위험 지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3(2), 209-221
  6. 박은주, 강은미. (2005). 인터넷 패션쇼핑몰에서 쇼핑가치, 인터넷 패션쇼핑몰 속성, 감정 및 구매의도가 구매여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7), 117-129
  7. 박종원, 윤성준, 최동춘. (2003). Flow를 이용한 소비자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12, 46-68
  8. 박철. (2000). 인터넷 정보탐색가치가 인터넷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15(1), 143-162
  9. 서영호, 김성은. (1999). 인터넷 상거래의 비용우위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국내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소바자 인식도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99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7, 225-234
  10. 성영신. (1989). 소비자 행동연구의 경험론적 접근. 광고연구, 3. 5-17
  11. 신종학. (2002).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 측정요인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7(1),71-96
  12. 이두희. (1998). 국내 최초 인터넷 쇼핑몰 이용차 조사. IM Research 조사보고서
  13. 이명수, 박종희, 김도일. (2001). 인터넷상에서 지각된 플로우와 실용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6(1),61-84
  14. 이승욱, 김종금. (1998). 청소년 소비자의 쇼핑가치와 충동 구매에 관한 분석. 단국대학교 산업연구, 21, 193-215
  15. 이은진, 홍병숙. (1999), PC통신 및 인터넷 이용자의 통신판매를 통한 의류제품 구매성향. 한국의류학회지, 23(7), 1007-1018
  16. 이학식, 김영, 정주훈. (1999). 실용적/쾌락적 쇼핑가치와 쇼핑만족-구조모델의 개발과 검증-. 경영학연구, 28(2), 505-538
  17. 이호배, 정주훈, 박기백. (2000).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속성신념과 태도가 홈페이지 광고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29(2), 263-290
  18. 인터넷 이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 (2000, 9. 1). 전자신문. 자료 검색일 2004, 10. 20, 자료출처 http://www.etnews. co.kr
  19. 전달영, 경종수. (2004).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가치와 쇼핑몰 애호도의 결정요인-엔터테인먼트 상품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1(6), 1681-1705
  20. 정현립, 심완섭. (1998). 쇼핑가치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정보탐색, 의견 선도력, 점포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 2, 277-301
  21. 최선형. (1997). 의복쇼핑가치 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17(1), 5-19
  22. 한국광고단체연합회. (2004). KNP 보고서 자료검색일 2005, 5. 10, 자료출처 http://www.advertising.co.kr
  23. 한상린, 박천교. (2000). Flow 개념을 이용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소비자 구매의도 결정요인 분석. 마케팅연구, 15(1), 187-204
  24. 홍동표, 문성배, 유선실, 박용우, 정부연, 김재경, 김민창 (2004). 국내 인터넷 쇼핑시장분석 및 전망 KISDl 이슈 리포터. 자료검색일 2005, 5. 10, 자료출처 http://www.kisdi.re.kr
  25. 홍희숙. (2002). 인터넷 쇼핑몰 점포속성 지각이 의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비구매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4), 27-44
  26. Babin, B. J., William, R, D., & Mitch, G.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March),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27. Block, P. H. & Bruce, G. D. (1984). Product involvement as leisure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197-202
  28.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San Francisco: Jossey-Bass
  29. Eighmey, J. (1997). Profiling user responses to commercial web sit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7(May-June), 59-66
  30. Engel, J. E.,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New York: The Dryden Press
  31. Hirshcman, E. C. & Morris, B. H. (1982).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46(summer), 92-101
  32. Hoffman, D. L. & Novak, T. P. (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 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60(July), 50-68 https://doi.org/10.2307/1251841
  33. Lin, C. A. (1999). Online-service adoption likelihoo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2), 78-89
  34. Novak, T. P., Hoffinan, D. L., & Yung, Y. F. (2000).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 online environments: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Marketing Science, 19(1), 22-44 https://doi.org/10.1287/mksc.19.1.22.15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