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tic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Areas and Analysis of Genetic Structure of Hanwoo(Korean cattle)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한우 집단의 지역별 유연관계와 유전적 구조 분석

  • Oh, J.D. (Genomic Informatics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D.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
  • Kong, H.S. (Genomic Informatics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H. (Genomic Informatics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Hong, Y.S. (Genomic Informatics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 G.J. (Genomic Informatics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H.K. (Genomic Informatics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오재돈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 ;
  • 김종대 (축산연구소) ;
  • 공홍식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 ;
  • 이제현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 ;
  • 홍윤숙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 ;
  • 전광주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 ;
  • 이학교 (한경대학교 유전정보연구소)
  • Published : 2006.10.01

Abstract

Genotype data from seven microsatellites typed in 231 animals were used to estimate the genetic structures of eight cow population distributed by regional area in Hanwoo (Korean cattle). In total, 53 alleles were detected from the genotyping of seven microsatellite markers. The average of expected heterozygosities ranged from 0.682 to 0.734 in 8 population of Hanwoo. Even though there were also some of alleles that were found in only specific regional population, similar frequency pattern for the most of alleles appeared in various 8 population. Genetic distances between populations were obtained using STDUPGMA method to construct a phylogenetic tree. The tree illustrated that most individuals were grouped on the basis of populations, distributed by the regional area. Some of genetic parameter on the basis of microsatellite gonotyping appears to provide a useful tool for examining the regional area kindship and genetic variation in Hanwoo.

본 연구는 한우의 지역별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간의 유연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그리고 경북 8개 지역에서 비교적 지역간의 이동이 적은 번식우를 대상으로 공시축을 선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microsatellite marker의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7.5개로 검출되었다. 관측된 대립유전자의 이형접합율을 보면 전북(CEB)과 전남(CEN)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기대되는 이형접합율은 전체 평균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전북과 전남 지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기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ETH225은 특정 대립유전자가 특정지역의 집단에서 높은 발현빈도를 보임으로써 지역간의 유전적 특징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경남 지역과 충북 지역간의 유전적 거리는 0.031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북과 충남 지역 사이의 유전적 거리가 0.154로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지역과 다른 지역들과의 유전적 거리의 평균은 0.136으로 나타났다. 강원 지역 역시 다른 지역들과의 유전적 거리의 평균이 0.082로 대체적으로 멀게 나타나고 있다. 반변 경기와 경남 지역은 다른 지역들과 유전적 거리의 평균이 각각 0.056과 0.055로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한우의 기대되는 이형접합율은 0.709로 나타나 다른 품종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