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physical Well Logs in Basaltic Volcanic Area, Jeju Island

제주 현무암 지역에서 물리검층 자료 해석

  • Hwang, Se-Ho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Shin, Je-Hyu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Park, Ki-Hwa (Groundwater &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Park, In-Hwa (Groundwater &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oh, Gi-Won (Water resources management office of Jeju Government)
  • 황세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신제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박기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박인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고기원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본부 수자원연구실)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A variety of geophysical well logging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for basaltic volcanic area in Jeju Island. Specially, there is no precedent case study using geophysical well loggings in Jeju Island. And so, the proper understandings for geological features of Jeju Island are the key to interpret geophysical well logs. Presently, 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systems have been constructed for systematic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groundwater resources. As the results of geophysical well loggings in this 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boreholes, the responses of well logs for saturated zone have distinctly identified basalt sequences. In particular, neutron logging, gamma-gamma (density) logging, and resistivity logging have well exhibited the characteristics of lava flows and lithologic boundaries. In hyalocastite, porosity is high, and resistivity is low. Eventually, geophysical well logs are useful for sec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oundwater in Jeju Island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responses.

화산섬 제주도에서 용암분출에 따른 물리검층 반응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다양한 물리검층을 수행하였다. 지질조사 목적으로 다양한 물리검층을 수행한 사례가 없어 제주도 지질의 특이성에 대한 이해의 폭이 물리검층 자료의 해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주도의 지하수자원의 체계적인 개발과 보전 목적으로 해안을 중심으로 해수침투관측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들 해수침투관측망 중에서 나공 시추공에 대한 물리검층 결과, 지하수위 하부인 포화대 구간에서의 물리검층 반응은 용암의 누층과 관련된 반응이 뚜렷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중성자검층, 감마-감마(밀도)검층 및 전기비저항검층은 용암유동의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수중화산쇄설성퇴적층은 높은 공극률, 낮은 전기비저항과 밀도를 나타냈다. 제주도 지역에서 수행한 물리검층 자료는 지질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어 물리검층의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기화, 이봉주, 한만갑, 김정찬, 기원서, 박원배, 김태윤, 2003, 제주도 지질여행,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주발전연구원, p179
  2. 박기화, 고동찬, 김구영, 김상연, 김용제, 김태희, 문상호, 민l권규, 박인화, 성기성, 성낙훈, 송경선, 신제현, 심병완, 이봉주, 이종철, 이철우, 지세정, 하규철, 황세호, 김석중, 고기원, 박윤석, 강봉래, 2004, 미래 제주도 청정 지하수 공급 시스템 구축 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일반-04(연차)-02, p214
  3. 송윤호, 정승환, 이상규, 김정호, 황세호, 황학수, 이성곤, 조성준, 이명종, 설순지, 박인화, 2000, 지반 물리탐사 연구, 한국지질 자원연구원, 1999-R-TI02-P-01, p111
  4. 이상규, 황세호, 이태섭, 구성본, 최종호, 박인화, 김광은, 송윤호, 성낙훈, 성기성, 이진수, 진명식, 지세정, 이동영, 김주용, 양동윤, 성익환, 최순학, 조병욱, 김민규, 박철환, 박연준, 최성웅, 박 찬, 이현철, 김태유, 양문희, 오경준, 박경민, 김연배, 송영수, 채효석, 백길남, 송승엽, 오세영, 1996, 제주도 지열자원탐사 및 최적활용방안 연구(III), 통상산업부, p473
  5. 제주도, 2001,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I), p378
  6. 제주도, 2002, 제주도 수문지 질 및 지 하수자원 종합조사(I), p343
  7. 황세호, 이상규, 1999a, 물리검층자료의 불확도 감소와 수직분해능향상을 위한자료처리, 대한지구물리학회 제2차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대한지구물리학회, 한국자원연구소, 29-30
  8. 황세호, 이상규, 박인화, 황학수, 1999b, 물리검층의 품질관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자원공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춘계공동학술발표회(동북아광상성인 심포지움), 330-332
  9. 황세호, 박 찬, 이상규, 신희순, 2000, 소구경 시추공에서의 밀도 검층, 한국자원공학회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자원연구소, 298-300
  10. 황세호, 이상규, 박인화, 박중권, 한경수, 유인결, 2001, 자연감마선검층의 자료처리 및 활용,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 대한지질학회 2001년도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한양대학교, 100-103
  11. 황세호, 신제현, 박권규, 박윤성, 이상규, 조철현, 2004, 감마-감마(밀도)검층의 품질관리, 대한지구물리학회 . 대한물리탐사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32-39
  12. Becker, K, Sakai, H., Adamson, A. C, Alexandrovich, J., Alt, J. C, Anderson, R N., Bodeau, D., Gable, R, Herzig, P. M., Houghton, S., Ishizuka, H., Kawahata, H., Kinoshito, H., Langseth, M. G, Lovell, M. A., Malpas, J., Masuda, H., Merrill, R B., Morin.R. H., Mottl, M. J., Pariso, J. E., Pezard, P, Phillips, J., Sparks, J., and Uhlig, S., 1989. Drilling deep into young oceanic crust, Hole 504B, Costa Rica Rift., Rev. Geophys., 27, 79-102 https://doi.org/10.1029/RG027i001p00079
  13. Brewer, K, Sakai, H., Adamson, A. C., Alexandrovich, J., Alt, J. C, Anderson, R N., Bideau, D., Gable, R, Herzig, PM., Houghton, S., Ishizuka, H., Kawahata, H., Langseth, M. G, Lovell, M. A., Malpas, J., Masuda, H., Merrill, R B., Morin, R H., Mottl, M. J., Pariso, J. E., Pezard, P, Phillips, J., Sparks, J., and Uhlig, S., 1998, Drilling deep into young ocean crust, Hole 504B, Costa Rica Rift., Rev. Geophys., 27, 79-102
  14. Broglia, C, and Ellis, D., 1990. Effect of alteration, formation absorption, and standoff on the response of the thermal neutron porosity log in Gabbros and Basalts: examples from Deep Sea Drilling Project-Ocean Drilling Program Sites., J. Geophys. Res., 95, 9171-9188 https://doi.org/10.1029/JB095iB06p09171
  15. Buckley, D. K, and Oliver, D., 1990. Geophysical logging of water exploration boreholes in the Deccan Traps, Central India. In: Hurst, A., Lovell, M. A., Morton, A. C. (Eds.), Geological Applications of Wireline Logs. Geol. Soc. London Spec. Publ., 48, 153-161
  16. Crosby, J. W, and Anderson, J. V., 1971. Some applications of geophysical well logging to basalt hydrology, Groundwater, 9, 12-20
  17. Goldberg, D., 1977, The role of downhole measurements in marine geophysics, Rev. Geophysics, 35, 315-342 https://doi.org/10.1029/97RG00221
  18. Hearst, J. R, Nelson, P. H., and Paillet, E L., 2000, Well logging for physical properties, A handbook for geophysicists, geologists, and engineers, John Wiley & Sons Ltd., p483
  19. Helm-Clark, C. M., Rodgers, D. W, and Smith, R P., 2004, Borehole geophysical techniques to define statratigraphy, alteration and aquifers in basalt, J. of Applied Geophysics, 55, 3-38 https://doi.org/10.1016/j.jappgeo.2003.06.003
  20. Knutson, C. E, Sullivan, W H., and Dooley, K J., 1994. Geotechnical logging evaluation of the Eastern Snake River Plain Basalts., Soc. of Prof Well Log Analysts 34th Annual Logging Symposium, 1-17
  21. Versey, H. R, and Singh, B. K, 1982. Groundwater in the Deccan basalts of the Betwa basin, India, J. Hydrol., 58, 276-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