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al Mechanism Solutions of Microearthquak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 Peninsula

한반도 남서부에서 발생한 미소지진의 진원 기구해 분석

  • Cho, Hee-Kyu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ang, Tae-Seob (Earthquak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yung, Jai-Bo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조희규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강태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경재복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Focal mechanisms were analyzed for the seven earthquakes which occurr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 Peninsula from 2001 to 2005. Grid searches are performed to fit distributions of P-wave first-motion polarities and SH/P amplitude ratios for each event. The focal mechanism solutions imply that most of the events have strike-slip sense including partially thrust component. The compressional axes of the solutions are predominantly ENE-WSW or NE-SW indirections.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directions of the principal compressional axes for major earthquakes occurred around the Korea Peninsula.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한반도 남서부에서 발생한 7개 미소지진에 대한 진원 기구해를 분석하였다. 진원 기구해를 구하기 위하여 P파 초동극성과 SH/P 진폭비 자료를 이용한 격자탐색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진들이 일부 역단층 성분을 포함하는 주향이동 단층 운동과 관계된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한반도 남서부 지역의 지진원에서 단층 운동을 일으키는 주 압축 응력 방향은 ENE-WSW 또는 NE-SW 방향인 것으로 해석되며, 이 결과는 남한 내의 주요 지진에 대하여 알려진 주 응력장의 방향과 유사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재복, 정태웅, 이재구, 이덕기, 이은아, 2001, 남한 중부지역에서 발생한 미소지진의 단층면해와 응력장 해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2(4), 292-300
  2. 김상조, 김소구, 1983, 지진파를 이용한 남한의 지각구조 연구. 광산지질, 16(1), 51-61
  3. 김성균, 1995, 한반도의 지각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31(4), 393-403
  4. 김성균, 정부흥, 1985, 한반도 남부지역의 지각구조. 광산지질, 18, 151-157
  5. 박창업, 신진수, 지헌철, 강익범, 류용규, 1998, 1996년 12 월 13일 영월지진의 진원단층면 방향. 지구물리, 1(1), 23-30
  6. 이기화, 정태웅, 1999, 1996년 양산단층 일대의 미소지진을 이용한 복합단층면해. 지구물리, 2(4), 235-240
  7. 정태웅, 김우한, 2000,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단층 면해 비교해석. 지구물리, 3(4), 245-250
  8. Hardebeck, J.L. and Shearer, P.M., 2003, Using S/P amplitude ratios to constrain the focal mechanism of small earthquake.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6, 2434-2444
  9. Jun, M.S., 1990, Source parameters of shallow intraplate earthquake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 Ph. D. thesis, University of Uppsala, 142 p
  10. Kang, T.S. and Baag, C.E., 2004, The 29 May 2004, Mw = 5.1, offshore Uljin earthquake, Korea. Geosciences Journal, 8 (2), 115-123 https://doi.org/10.1007/BF02910189
  11. Kyung, J.B., Oike, K., and Hori, T., 1996, Temporal variations in seismic and volcanic activity and relationship with stress fields in East Asia. Tectonophysics, 267, 331-342 https://doi.org/10.1016/S0040-1951(96)00068-6
  12. Lee, K.H., 1979, On the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5, 253-258
  13. Snoke, J.A., 2000, FOCMEC: Focal mechanism determination. FOCMEC software manual
  14. Snoke, J.A., Munsey, J.W., Teague, A.G., and Bollinger, G.A., 1984, A program for focal mechanism determination by combined use of polarity and SV-P amplitude ratio data. Earthquake Notes, 5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