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Studies on the Variation of Flow Structure Due to Sea Surface Temperature at the Lee Side of Jeju Island in the Korean Peninsula

해수면 온도변화에 따른 제주도 후면 흐름구조 변화에 관한 수치연구

  • 이순환 (조선대학교 아시아몬순기후환경연구센터) ;
  • 박광순 (장영실과학고등학교)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Numerical studies on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between atmosphere and ocean on the variation of Karman vortex at the lee side of Jeju Island were carried out. Karman vortex tends to be occurred at limited height associated with Hanla mountain. And we can find clear Karman vortex at 900 hPa height in this study. One big vortex cell occurred at lee side of Jeju Island in the begging stage of its development and the cell was divided into three small cells as time goes by. And the strength and lifetime of small vortexes depend on the distribution of SST (Sea Surface Temperature). Weak gradient of SST makes long-lasting Karman vortex but produces weak potential vorticity at lee side of Jeju-do in comparison with the vortex under strong SST gradient. Strong SST gradient also increases not only the mixing depth but also the mixing ratio at lower level of troposphere. And the increased atmospheric mixing decreases the mechanical forcing due to isolated topography. Then the strength of Karman vortex at the lee side of Jeju Island becomes weak under strong gradient of SST. Thus the evolution of Karman vortex is closely related to distribution of SST around the isolated island.

대기-해양의 상호작용과 제주도 후면에서 발생하는 카르만소용돌이행렬의 상관관계를 수치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카르만 소용돌이는 한라산의 제한된 높이에서 형성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900 hPa고도에서 카르만 소용돌이가 뚜렷이 생성되었다. 카르만소용돌이행렬의 발생초기에는 하나의 소용돌이세포가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용돌이는 이류를 한다. 이때 작은 소용돌이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분리된 소용돌이의 강도와 지속시간은 해수면 온도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즉 약한 해수면의 온도경도는 카르만 소용돌이의 지속 시간을 길게 하며, 산 후면의 소용돌이도를 감소시킨다. 강한 해수면 온도경도는 혼합층과 대기하층 수증기량을 증가시키고, 강화된 하층대기 혼합은 산악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계적 응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찬수, 신유미, 이순환, 2004, 해안지형 복잡성이 중규모순 환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실험. 한국기상학회지, 40(1), 71-86
  2. 이순환, 박광순, 2004, 독립된 산악지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규모소용돌이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40(2), 191-202
  3. 이순환, 이화운, 김유근, 1999, 대가환경모형에 대한 지형성 난류 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8, 653-660
  4. 이용희, 김용상, 최준태, 오재호, 2000, 고해상도 지상 - 해수면 자료가 지역규모의 국지순환 예측에 미치는 영향 - 제주청 한라 단시간 예측시스템, 한국기상학회 봄 학술발표집, 56-59
  5. 이종웅, 2002, 지역대기모형을 이용한 제주도 배후의 Karman Vortex Street현상의 산정.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9 p
  6. 현종훈, 이동규, 1990, 3차원 중규모 모델을 이용한 제주도에서의 해륙풍 모의. 한국기상학회지, 26(2), 121-136
  7. Atkinson, B.W., 1981, Meso-scale Atmoshperic Circulation. Academic Press, 495 pp
  8. Dudhia, J., Gill, D., Guo, Y.-R., Manning, J., and Wang, W., 2000, PSU/NCAR Mesoscal Modeling System Tutorial Class Notes and Users' Guide (MM5 Modeling System Version 3), mesoscale and Micro. NCAR-Technical Note, 90p
  9. Hubert, L.F. and Krueger, A.F., 1962, Satellite Pictures of Mesoscale eddies. Monthly Weather Review, 90, 457-463 https://doi.org/10.1175/1520-0493(1962)090<0457:SPOME>2.0.CO;2
  10. Kang, S.-D., 1997, A Numerical Study on the Mesoscale Disturbance in the Lee of an Isolated Mountain. Ph.D. Thesis, University of Tsukuba,. 150p
  11. Smolarkiewize, P, K. and Rotunno, R., 1989, Reply. Journal of Atmosphere Science, 46, 3614-3617 https://doi.org/10.1175/1520-0469(1989)046<3614:R>2.0.CO;2
  12. Yagi, S., Kimura, F., and Takahashi, T., 1987, Karman Vortex in the Atmosphere: Analysis, Consideration and Numerical Experiment with Two-Layer Model(in Japanese). Proceeding of Annual Meeting of Japan Meteorological Society, Oct,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