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서남부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심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al Study on the Intermediate-basic Plutonic Rock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용준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 박재봉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 박병규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Kim, Yong-Jun (Department of Earth System and Environm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Bong (Department of Earth System and Environm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Byung-Kyu (Department of Earth System and Environm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10.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서남부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심성암류의 지화학적 특성과 성인을 밝히는데 있다. 이들 중성-염기성암류는 주로 선캠브리아기의 회장암-반려암, 트라이아스기의 각섬석반려암(지리산 지역), 쥬라기의 섬록암-섬장암(지리산 지역과 북부 지역) 그리고 백악기 반려암-섬록암(남부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괴형의 회장암은 많은 관입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려암-노라이트-트록토라이트와 우백질 반려암으로 이루어진 반려암질암에 의해 관입되어 있다. 주 성분-미량 성분의 변화도, AMF 삼각도와 Pl-Px-Ol 삼각도에서, 우리는 한반도 서남부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암류가 Daly의 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칼크-알카리질암류에 속함을 보여준다. REE (La/Yb)cw와 Eu/Sm 값에 따르면 이들 암류는 경희토류가 중희토류보다 부화되어 있으며, 이는 대륙 연변부의 지구조에서 정치한 화성암류의 특징이다.

Main aspect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etr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intermediated-basic pluton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Intermediated-basic plutons consist of Pre-Cambrian anorthosite-gabbro, Triassic hornblende gabbro (Jirisan area), Jurassic diorite-syente (Jirisan and north area) and Cretaceous gabbro-diorite (south area). The Massif type anorthosite has multi intrusions, where each one intruded by gabbroic rocks, composed of gabbro, norite, troctolite and leucogabbro. In the variation diagram of the major-minor composition, AMF and Pl-Px-Ol diagrams, we suggest that intermediated-basic pluton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 show a trend consistent to Daly's value and calc-alkaline rock series. Accoding to REE (La/Yb)cw and Eu/Sm, these plutons are enriched with LREE than HREE, and emplaced by the tectonic setting in continent and/or continental margi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옥준, 박봉순, 정봉일, 장기홍, 박봉순, 강필종, 1980, 한반도의 지진지체구조 분석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159 p
  2. 김용준, 1986, 보성-순천 지역에 분포하는 정편마암류의 지질시대와 성인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21, 69-83
  3. 김용준, 이창신, 1988, 장수-운봉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와 그의 화성활동에 대한 연구. 지질학회지, 제24권 특 별호, 111-131
  4. 김용준, 조등룡, 박영석, 1989, 거창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성암류에 대한 K-Ar 연령과 주성분 광물의 화학조성. 광산지질, 22, 117-127
  5. 김용준, 박영석, 주승환, 오민수, 박재봉, 1990, 옥천지향사대 동남대에서의 화성활동(II) -진안-나주사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11, 120-138
  6. 김용준, 이창신, 강상원, 1991a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심성암류에 대한 암석지화학. 한국지구과학회지, 12, 100-122
  7. 김용준, 박영석, 주승환, 오민수, 박재봉, 1991b, 옥천지향사대 동남대에서의 화성활동(III) (나주-남창지역을 중심 으로). 광산지질, 24, 261-276
  8. 김용준, 오민수, 박재봉, 1993a, 광주화강암체에 대한 암석 화학적 연구. 광산지질, 26,83-96
  9. 김용준, 오민수, 박재봉, 1993b, 나주-해남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 한국지구과학회지, 14, 300-315
  10. 김용준, 박영석, 박천영, 김진, 1995, 나주-영암-목포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과 화성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6, 442-461
  11. 김용준, 이창신, 김희남, 박재봉, 이훈교, 1998, 전남 장성 동부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화학. 한국 지구과학회지, 154-170
  12. 김정빈, 박영석, 1996, 벌교지역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지질시대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7, 227-240
  13. 김종환, 고상모, 이동진, 박중권, 홍세선, 채수천, 이형재, 안기오, 서효준, 전효택, 문희수, 1993, 화산원 천열수성 광상탐사 및 모델정립(3). 과학기술처, KR-92(T)-25, 209 p
  14. 박희인, 1966, 한국지질도, 순창지질도폭 및 설명서 (1:50.000). 국립지질조사소
  15. 손치무, 김수진, 1966, 한국지질도, 창평도폭 및 지질보고서 (1:50,000). 국립지질조사소
  16. 정지곤, 1987, 하동-산청지역 회장암질암의 분화. 지질학회지, 23, 216-228
  17. 주승환, 김성재, 1986, 영남육괴의 연령측정II(지리산 서남부 일대의 화강암질 편마암 및 편마상화강암류). 한국동력자원연구소, KR-86-2-17, 28 p
  18. 주승환, 지세정, 1990, 광주화강암의 Rb-Sr 연령측정 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KR-90-1B-2, 3-54
  19. 이창신, 김용준, 박천영, 이창주, 1992, 광양-승주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화학. 광산지질, 25, 51-60
  20. Green D.H., Nicholls, M.V., and Vilikoen, R., 1975,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the existence of peridotitic liquids in early archean magmatism. Geology, 3, 11-14 https://doi.org/10.1130/0091-7613(1975)3<11:EDOTEO>2.0.CO;2
  21. Henderson, P., 1984,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Elsvier Science Pubulication Inc., 489 p
  22. Hong, Y.K., 1983,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southern Korea.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365 p
  23. Kim, J.H. and Kee, W.S., 1994,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onchang Shear Zone, Korea. Journal Southeast Asian Earth Science, 9, 417-428 https://doi.org/10.1016/0743-9547(94)90053-1
  24. Kwon, S.T. and Jeong, J.G., 1989, Preliminary Sr and Nd isotopic study of Sancheong-Hado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Mining Geology, Abstract of annual meeting
  25. Mason, B. and Moore, C.B., 1984, Principles of geochemistry, Wiley and Sons, Inc., 344 p
  26. Streckeisen, A.L., 1967,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igneous rocks (final report of an enquiry). neues Jahrbush fur Mineralogy Abhanndlungen, 74, 13-27
  27.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Geochang area., Ry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29 (4), 243-258
  28. Yanai, Shuichi, Park, B.S., Otoh, Shigeru, 1985, The Honam shear zone (south Korea): Deformation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Far East. Earth science and Astronomy (scientific paper, College of Art and Science), University of Tokyo, 35, 180-210
  29. Yoder, H.S. Jr., 1979, Melilite bearing rocks and related lamprophyres, In Yoder, H.S. Jr. (ed.), The evolution of the igneous rocks: Fiftieth Anniversary Perspectiv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91-411
  30. Yoder, H.S. Jr., and Tilley, C.E. Origin of basalt magmas: an experimental study of natural and synthetic rock systems. Journal of Petrology, 3, 34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