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Importance of the Resection Margin Distance in Gastric Cancer Patients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시 근위부 절제연거리의 임상적 중요성

  • Ha, Tae-Kyung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won, Sung-Jo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하태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권성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Purpose: The way in which the resection margin distance for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go a gastric resection influences the recurrence rate, aspects of recurrence, and the progno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umor is not known. We aim to find a standard for tailor-made treatment after selecting patients in this point of view who need a more sufficient resection margi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on 1,472 patients who underwent a gastrectomy due to gastric cancer at our hospital from 1992 to 2005.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7 month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rate, the aspects of recurrence, and the 5-year survival rate between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with a resection margin distance of less than 2 cm compared with EGC patients with a resection margin distance of greater than 2 cm.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ival rate were found in advanced gastric cancer (AGC) patients when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resection margin distances less than or greater than 3 cm (P=0.0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especially in cases of diffuse histologic-type tumors located in the lower third of the stomach and in cases with Borrmann type-3 and -4 tumors. Conclus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umor resection margin and the proximal gastric resection margi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rvival rate in EGC patients if the resection margin is negative. However, to improve a patient's survival rate, it is important to guarantee a resection margin of more than 3 cm in AGC patients, especially when the tumor is a diffuse histologic type located in the lower third of the stomach or a Borrmann type 3 and 4.

목적: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시행 시 절제연거리가 종양의 특성에 따라 재발률, 재발양상 및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자들은 이런 관점에서 분석하여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대상환자를 선별하여 맞춤치료의 기준을 찾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199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절제연 암침윤 음성이었던 4,47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추적기간 중앙값은 37개월($1{\sim}162$개월)이었다. 결과: 조기위암 환자군에서 절제연거리가 2 cm 미만인 군과 이상인 군 사이에 재발률, 재발양상 및 5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진행위암 환자는 절제연거리 3 cm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그 이상인 경우와 미만인 환자군의 생존율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2). 진행위암 환자 중 미만형, 위하부 1/3 위암, Borrmann 3, 4형은 절제연거리가 3 cm 이상인 군이 미만인 군에 비해 생존율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다변량 생존분석 결과 연령, 병기, 수술방법, Borrmann형, 근치도가 독립적인 인자였다. 결론: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시행 시 종양의 변연부와 근위부 위절제연까지의 거리는 조기위암의 경우 재발률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인자로 생각되지 않으며, 진행위암은 미만형, 하부 1/3, Borrmann 3, 4형의 경우에는 절제연을 3 cm 이상 확보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