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Large Gastric Tumors

대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분석 및 예후

  • Jang, You-Jin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ung-Min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ong-Han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ung-Soo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Chong-Suk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k, Young-Jae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장유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중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종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성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종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목영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Purpose: Tumor size has been reported to be one of the prognostic factors in the preoperative setting and 8 cm has been confirmed as a cut-off value for large gastric tumors with respect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tumors larger than 8 cm in diamet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2,26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gastrectomy from 1983 to 2001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or a comparative analysis we divided the cases into the large and the small groups according to tumor size.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large gastric tumors were analyzed by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we applied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we used P<0.05 as the cutoff value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disclosed that tumor location (P<0.001), resection type (P<0.001), curability (P<0.001), depth of invasion (P<0.001),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P<0.001), differentiation (P<0.001) and combined resection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dependent factors for survival identified by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or large gastric tumors were nodal status (P<0.001), curative resection (P<0.001), depth of invasion (P=0.010), type of resection (P=0.018) and age (P=0.033). Conclusion: Large gastric tumors showed more aggressive local findings than their smaller counterparts. In patients with large gastric tumors, a curative res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rognosis. Therefore, we suggest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do a curative gastrectomy and an accurate preoperative examination.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244-249)

목적: 수술 전 측정이 가능한 종양의 크기는 위암의 중요한 예후 인자로 생각되고 있으며 크기가 큰 위암은 주위 장기 침범, 광범위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 등을 동반한 진행성 위암으로 예후가 불량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양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대형위암의 임상 병리학적 분석과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3년 9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외과학교실에서 위암으로 진단되어 절제술을 시행받은 2,2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군을 장경 8 cm를 기준으로 대형위암 335 (14.8%))예 소형위암 1,925예(85.2%)의 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형위암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군 간의 임상 병리학적 인자들을 다변량 분석과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생존은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사용하였다. P<0.05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종양의 위치(P<0.001), 수술 방법(P<0.001), 근치도(P<0.001), 위벽침윤도(P<0.001), 림프절 전이(P<0.001), 분화도(P<0.001) 그리고 타장기의 합병절제율(P<0.001)이 두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 대형 위암의 생존율을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로 분석한 결과 림프절 전이(P<0.001), 근치도(P<0.001), 위벽 침윤도(P=0.010), 수술 방법(P=0.018)과 나이(P=0.033)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결론: 대형위암은 소형위암에 비해 진행된 소견을 보였다. 대형 위암에서 근치절제는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 근치적 절제를 위해 노력이 필요하며 근치적 수술 가능성에 대한 좀더 정확한 수술 전 병기결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