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Curve of a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y for a Surgeon Expert in Performing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개복 위절제술에 경험이 풍부한 술자에 의한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Learning Curve

  • Kim, Ji-Hoon (Department of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ung, Young-Soo (Department of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ung, Oh (Department of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Jeong-Taek (Department of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k, Jeong-Hwan (Department of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Oh, Sung-Tae (Department of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Kun-Choon (Department of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Byung-Sik (Department of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지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정영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정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임정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육정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오성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박건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 김병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Purpose: The laparoscopy assisted gastrectomy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early gastric cancer. However, expert surgeons, who have performed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for a long time, tend to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laparoscopic proced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arning curve of a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for a surgeon expert in performing an open gastrectomy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a LAD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pril 2005 and March 2006, 62 patients underwent a LADG with D1+beta lymph-node dissection. The 62 patients were divided into 10 sequential groups with 6 cases in each group (the last group was 8 cases), and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plateau of the learning curve was determined by examining the average operative times of these 10 groups. Other factors, such as sex, BMI, complications, transfusion requirements,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and change of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were also analyzed. Results: With the $5^{th}$ group (after 30 cases), the operative time reached a plateau (average: 170 min/oper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the $30^{th}$ case and after the $31^{st}$ case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the transfusion requirements, and the complications rat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operative time, experience with 30 LADGs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is the point at which the plateau of the learning curve (7 months) is reached. Abundant experience with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and a well-organized laparoscopic surgery team are important factors in overcoming the learning curie earlier.

목적: 조기위암 치료에 있어서 복강경 위암 수술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하고 있다. 기존에 시행하고 있던 개복에 의한 위절제술에 익숙한 경험 많은 외과의사들은 복강경 위암 수술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기술적으로 습득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음을 느끼며 복강경 수술에 소극적 자세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저자 등은 개복 위절제술에 경험이 풍부한 외과의사에 의한 복강경 위절제술의 learning curve를 결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하여 수술전 조기 위암(cT1N0)으로 진단 받고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LADG) 및 $D1+{\beta}$ 림프절 곽청을 시행 받은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강경 위절제술 시행을 위하여 전문팀을 구성하였다. 대상 환자를 6명씩 한 그룹으로 총 10그룹(마지막 그룹은 8명으로 구성함)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평균 수술시간을 비교하여 learning curve 극복 전후의 나이, 성별, 수술 후 합병증, 절개창의 길이, 수혈유무, 적출된 림프절 개수, 수술 전 후 혈색소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을 분석한 결과 여섯 번째 그룹 (31st case)부터 수술 시간의 Plateau를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learning curve 극복시점을 30th case (7개월)로 간주하였으며 극복 전후 집단 간의 평균 수술시간을 분석하였을 때 각각 $239.0{\pm}69.7$분과 $170.0{\pm}32.6$분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양 군 간 평균나이, 성별, BMI, 수술 전후의 혈색소 수치변화, 적출된 림프절 개수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절개창의 길이, 수혈유무, 수술 후 합병증 유무도 양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의 LADG learning curve 극복은 30예(7개월)로 다른 보고보다 일찍 도달할 수 있었다. 이는 개복 수술의 풍부한 경험, 전문 수술팀 구성, 그리고 단기간 집중적인 시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