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위암에서 CT Gastrography를 이용한 위점막 표면 거리 측정

Measurement of the Mucosal Surface Distance in the Early Gastric Cancer Using CT Gastrography

  • 최향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유완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염헌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 이재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 최재정 ;
  • 김희수 ;
  • ;
  • ;
  • 정호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Choi, Hyang-Hee (Departments of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u, Wan-Sik (Departments of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Ryeom, Hun-Kyu (Departments of Rad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Jae-Hyuk (Departments of Rad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i, Jae-Jeong (ISIS Center, Department of Radiology,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 Kim, Hee-Su (ISIS Center, Department of Radiology,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 Cleary, Kevin (ISIS Center, Department of Radiology,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 Mun, Seong-Ki (ISIS Center, Department of Radiology,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 Chung, Ho-Young (Departments of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발행 : 2006.09.30

초록

목적: 위암의 조기발견이 갈수록 많아져서 근래에는 수술 환자에서 조기위암의 비율이 50%를 넘고 있다. 그런데 조기위암은 수술 중 촉각이나 시각에 의해 인지되지 않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으며 수술 전 위 내시경조차도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술 중에 절제범위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이 연구를 통하여 1) CT gastrography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경계지점에서부터 조기 위암 병변까지의 생체내 실제의 표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2)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술 후 병리 표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비교하여 수술에서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술 전 복부 3차원 CT gastrography를 촬영하고 위 절제술을 시행한 60명의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남자 45명, 여자 15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7.8세였다.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은 5 Fr 비위장관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킨 후 시행되었고 이 영상은 절편 두께 0.625 mm의 thin section과 kVp:120, mAs:200의 low dose radiation의 Protoco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표면거리 측정 소프트웨어를 Rapidia 2.8 CT 3차원 재구성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3차원 볼륨 렌더링 및 조기 위암 병변에서 유문, 또는 분문까지의 표면 거리를 측정하였고, 술 후 병리 표본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술 전 생체 내에서 측정된 거리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 병소와 유문, 또는 분문 사이의 거리에 대한 병리 표본과 CT gastrography로부터 측정된 거리간의 차이는 $5.04{\pm}2.97\;mm(range,\;0{\sim}11\;mm)$였으며 CT gastrography에 기초한 거리측정은 병리표본에 비하여 18명의 환자에서는 더 길었고 3명의 환자에서는 더 짧았다. CT gastrography로 측정된 술 전 생체 내 표면거리와 술 후 병리 표본에서 측정된 거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995, P<0.01).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해부학적 경계지점으로부터 조기위암 병변까지의 표면 거리가 CT gastrography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기법은 수술적 절제의 적절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조기 위암의 술 전 위치 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Recently, the incidence of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is rapidly increased in Korea. However, they're often not perceptible by surgical palpation or inspe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e a software that can locate the tumor and measure the mucosal distance from an anatomic landmark to the tumor using CT gastrography and 2) to compare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eveloped software with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September 2005, sixty patients (male=45, female=15, mean 57.8 years old) estimated for EGC with preoperative CT scans and undergone gastrectomie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reoperative CT scans were performed after insufflations of room air via 5 Fr NG tube. The scans included the following parameters: (slice thickness/reconstruction interval: 0.625 mm, kVp: 120, mAs: 200). 3D volume rendering and measurement of the surface distance from the pylorus to the EGC were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software. Results: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lesion to pylorus distances measured from pathologic specimens and CT gastrography was $5.3{\pm}2.9\;mm(range,\;0{\sim}23\;mm)$. The lesion to pylorus distance measured from CT gastrography was well correlated with that measured from the pathologic specimens (r=0.9843, 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rface distance from an anatomic landmark to the EGC can be measured accurately by CT gastrography. This technique could be used for preoperative localization of early gastric carcinomas to determine the optimal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