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성 위암환자에 있어 TS-1 또는 TS-1/CDDP의 항암효과 및 안정성

Efficacy and Safety Profile of TS-1 or TS-1/CDDP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Ha,, Tae-Kyung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won, Sung-Jo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6.09.30

초록

목적: 진행성 위암환자에게 여러 종류의 항암요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심각한 부작용 발현 없이 예후증진을 이룰 수 있는 약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표준요법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에서 TS-1이 한국인 위암환자에서 어떤 항암효과 및 안정성을 보이는지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진행성 위암으로 진단된 78명을 대상으로 TS-1 단독 또는 TS-1/CDDP 병용요법을 시행하였다. TS-1은 $80\;mg/m^{2}/day$을 단독요법의 경우 4주 복용 및 2주 휴약을, 병용요법인 경우엔 3주 복용 및 2주 휴약을 1 cycle로 하였다. CDDP은 $60\;mg/m^{2}$ 용량으로 제8일째에 정맥 주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요법군과 재발 및 비근치적 수술군에서의 종양 반응률은 각각 87.5%, 및 32.4%였고, 단독요법군 28.6%, 병용요법군 48.4%였다. 재발 및 비근치적 수술군의 경우 종양의 반응률에 따른 생존율 차이는 의미 있는 차이(P=0.0016)를 보였고, 1년 생존율은 단독요법 56.1%, 병용요법 58.5%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의미가 없었다. 전체 환자에서 치료관련 부작용 발현빈도(grade 3 이상)는 단독 및 병용요법의 경우 14.3% 및 36.8%였다. 결론: 한국인 진행성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TS-1 단독 또는 CDDP와의 병용요법은 높지 않은 부작용 발현빈도와 높은 종양 반응률을 보였으며, 향후 용량 조절과 스케줄 조절을 통해 표준항암요법의 하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Purpose: Although several chemotherapy regimens used against advanced gastric cancer (AGC)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an attempt to further improve the prognosis of patients, to date, no standard chemo-therapeutic regimens have been establish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tumor efficacy and safety of TS-1 or TS-1 plus cisplatin (CDDP). Material and Methods: We treated 78 patients with AGC either with $80\;mg/m^{2}$ of TS-1 for 28 days, which was followed by a 2-week rest, or with $80\;mg/m^{2}$ of TS-1 for 21 days and $80\;mg/m^{2}$ of CDDP on day 8 every 5 weeks. Results: Tumor response rates in the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and in the recurrent or post-palliative surgery group were 87.5% and 32.4%, respectively, and they were 28.6% and 48.4%, respectively, in the TS-1 group and the TS-1 plus CDDP group. The survival rates in the recurrent and the post-palliative surger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umor response (P=0.0016), but the one-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kinds of regimens (TS-1 or TS-1/CDDP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incidences of grade 3 or 4 adverse effects in the TS-1 and the TS-1/CDDP groups were 14.3% and 36.8%, respectively. Conclusion: The anti-tumor efficacy and safety of TS-1 and TS-1 plus CDDP in Korean patients with AGC seemed to be high with modest adverse effects, thus suggesting the possible use of this regimen as a standard chemotherapy for gastric canc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