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2 이상인 조기위암 환자의 수술 전과 수술 중의 평가

What is the Prognosis for Early Gastric Cancer with pN Stage 2 or 3 at the Time of Pre-operation and Operation

  • 김찬영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세열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양두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Kim, Chan-Young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Se-Yul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Yang, Doo-Hyun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2006.06.30

초록

목적: pN2 이상의 조기 위암환자들은 수술 전, 중에 병기 진행의 예측이 가능하였는지 아니면 전혀 예측하지 못한 채 낮은 병기를 기대하다가 병리조직검사의 결과를 보고서야 알게 되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0년부터 2003년까지 본 연구기관에서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받은 1,430명 중 조기위암 환자는 552명(38.6%)이었고 이들 중 pN2, pN3 환자 8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의 임상적 병기 예측과 수술 중의 수술자가 예측한 병기 예측을 병리조직검사의 결과와 비교하고 환자의 경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pN2와 pN3인 조기위암 환자들은 모든 연령층에 분포하였고 남자가 7명으로 여자보다 많았다. 수술 전 전산화단층촬영의 평가에서 T1의 평가는 25% (2/8)로 대체로 과평가되었고 N2 이상 평가는 50% (4/8)이었다. cTNM병기 Ia의 예측환자는 한 명으로 나머지 환자는 진행된 병기로 예측하였다. 수술 중의 T1의 평가는 57.1%(4/7), N2 이상 평가는 66.7% (4/6)이었고 sTNM병기 Ia로 평가한 환자는 2명으로 나머지 환자들은 진행된 병기의 예측이 가능하였다. 5년 이상 장기생존 환자는 단 1명이었고 이들 8명의 중앙 생존기간은 15개월$(95%\;Cl:\;0{\sim}35.5)$이었다. 결론: pN2 이상의 조기위암 환자들은 수술 전이나 중에 진행된 병기로 예측이 어느 정도 가능하였다. 그러나 전혀 예측할 수 없었던 환자도 있어서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evaluate patients with pN2 or pN3 early gastric cancer (EGC) as being in an advanced stage before and during the 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4,430 patients underwent a gastrectomy for cancer from 1990 to 2003. Eight of the 552 patients with EGC included pN2 or pN3. The estimated clinical and surgical stage before and during the operation were compared to the pathological results, and a follow-up of progression was done. Results: The patients were evenly distributed among all age groups with seven men and one woman. The pre-operative estimate of T1 by CT was 25% (2/8). In the main, the cT stage was over estimated. The estimate of over N2 was 50% (4/8). One patient was preoperatively staged as la sT1 during operation was 57.1% (4/7), and the estimate of over N2 was 67% (4/6). Two patients were intraoperatively evaluated as Ia. Only one patient survived over 5 years, and the mean survival of these patients was 15 months $(95%\;Cl:\;0{\sim}35.5)$. Conclusion: It was generally possible to evaluate patients with EGC of over pN2 as being in an advanced stage before and during the operation. Although very rare (2/552, 0.04%), there were EGC patients whose stages were not predictable at all. Therefore, more precise preoperative and intraoperative staging methods are warran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