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ofibroma Scapulae

견갑부 탄성섬유종

  • Kang, Hyun-Guy (Orthopaedic Oncology Clinic, National Cancer Center) ;
  • Cho, Hwan-Seong (Orthopaedic Oncology Clinic, National Cancer Center) ;
  • Park, Weon-Seo (Orthopaedic Pathology, National Cancer Center) ;
  • Lee, Joo-Hyuk (Orthopaedic Radiology Clinic, National Cancer Center) ;
  • Kim, Han-S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강현귀 (국립암센터 골연부종양 클리닉) ;
  • 조환성 (국립암센터 골연부종양 클리닉) ;
  • 박원서 (국립암센터 병리과) ;
  • 이주혁 (국립암센터 진단 방사선과) ;
  • 김한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Purpose: We report elastofibroma which is a rare fibrous lesion that most commonly occurs in the between subscapularis and thoracic cage. Materials and Methods: Four patients include one man and three women, the average age was 70 years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six months. Two patients had on left side, two patients had on both sides. Main symptom was palpable mass. One patient complained mild pain, two complained scapular snapping. Results: All four masses removed with marginal or wide margin. Average mass size was 9.7${\times}$7.2${\times}$3.8 cm. Preoperative symptoms disappeared after surgery. All of the patients have returned to their daily living and showed no recurrence.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such as limitation of shoulder motion and winged scapula. Conclusion: Elastofibroma scapulae can be diagnosed through patient's age, tumor location and radiological finding without preoperative biopsy. When patient is symptomless, observation is enough without surgical operation. Surgical operation considered for relieve of symptoms of pain and snapping.

목적: 탄성섬유종은 드물게 견갑하부와 흉벽사이에서 발생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단기간에 경험한 예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4예로 남자 1예 여자 3예이며, 평균 연령은 72세(65~77세), 추시 기간은 6개월(4~8개월)이었다. 4예 모두 견갑골과 흉곽 사이의 견갑골 하방부에 발생하였다. 2예에서 좌측에 발생되었고 2예에서 양측으로 발생하였다. 환자의 증상은 촉지되는 종괴 외에 1예에서 견갑부 동통, 2예에서 견갑부 탄발음, 1예는 무증상이었다. 결과: 4예 모두 변연절제술 이상의 절제연을 가지고 제거하였으며 절제해 낸 종괴의 크기는 평균 9.7(7.5~11.5)${\times}$7.2(4.4~11)${\times}$3.8(3~5) cm 이었다. 술전 증상들은 술후 모두 소실되었고, 4예 모두에서 술후 1개월부터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였다. 추시 기간 동안 관절부 운동범위 제한, 익상견갑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고, 증상 재발의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견갑부에 발생된 탄성섬유종은 환자의 연령, 발생위치,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술전 진단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진단적 생검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증상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 없이 추시 관찰이 가능하고 동통 및 탄발음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증상의 호전을 위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