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etroleum Geology of the Marine Basins in North Korea and Mutual Cooperative Plans for MT (Marine Technology)

북한 해양분지의 석유지질학적인 특징과 남북한 해양과학기술 협력 방안

  • 허식 (한국해양연구원 해양과학기술정책연구센터) ;
  • 유해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연구사업단) ;
  • 권석재 (한국해양연구원 해양과학기술정책연구센터) ;
  • 오위영 (한국해양연구원 해양과학기술정책연구센터) ;
  • 배성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과학기술정책연구센터)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The possibility of oil reserve has been conformed because the oil has been produced by 450 barrel per day in the West Korea Bay basin of the North Korea. There is also possibility of giant oil reserve since it is geographically close to one of the biggest oil fields of Bohai Basin, China. Based on the on-going oil explor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investment, the areas of ongoing oil exploration are three: West Korea Bay B&C prospect explored by Swedish Taurus, the north of West Korea Bay and Anju basin explored by Canadian SOCO, and East Korea Bay explored by Australian Beach Petroleum. However, there is little or no possibility of oil reserve in the rest sea areas of three. Even though oil reserves were discovered in the some parts of land areas such as Kilju and Myungcheon, it was presumed to have no economical efficiency. Geology in West Korea Bay off the North Korea is similar to that in Bohai Bay off China. The basement consists of thick carbonate rock of the Late Proterozoic and Early Paleozoic overlain by Mesozoic ($6,000{\sim}10,000\;m$) and Cenozoic ($4,000{\sim}5,000\;m$) units. Source rocks are Jurassic black shale (3,000 m or more), Cretaceous black shale ($1,000{\sim}2,000\;m$), and pre-Mesozoic carbonates (several thousand meters). Reservoir rocks are Mesozoic-Cenozoic sandstone with high porosity and pre-Mesozoic fractured carbonate rocks. Petroleum raps are of the anticline, fault sealed, buried hill, and stratigraphic types. It absolutely needs to take up a positive attitude, the activation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exchange, and the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odern MT (Marine Technology) considering the state of establishing new international ocean order forcing on building up 200 nautical mile EEZ (exclusive economic zone) among coastal nations. Both South and North Koreas should extend the ocean jurisdiction and contiguity, and MT development dealing with the same sea areas. It is more urgent problem to find a way to have the North Korea participated in, and then to develop ocean management and ocean industry individually.

북한의 서한만 분지는 일일 생산량 450 배럴의 원유가 생산되고 있어 석유부존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중국에서 큰 유전중 하나인 발해만 유전지대와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어 대규모 매장 가능성도 있다. 지금까지 북한의 석유탐사 및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탐사가 진행중인 곳은 3개 지역으로 서한만 B&C 광구 (스웨덴 Taurus사), 북부 서한만 및 육상 안주분지 (캐나다 SOCO사), 동한만 광구 (호주 Beach Petroleum사) 등이다. 상기 이외의 해저에는 원유가 부존할 만한 분지가 존재하지 않으며, 길주-명천 지구대 등 일부 육상 지역에서는 원유가 발견된 곳도 있으나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밝혀진 북한 서한만의 지질은 중국의 발해만과 유사하다. 후기 원생대와 초기 고생대에 생성된 기반암 위에는 최대 $6,000{\sim}10,000\;m$ 두께의 중생대 탄산염암 및 퇴적암과 $4,000{\sim}5,000\;m$ 두께의 신생대 퇴적암이 집적되어 있다. 근원암은 3,000 m 이상되는 쥬라기 및 $1,000{\sim}2,000\;m$ 두께의 백악기 흑색 셰일 그리고 수천 m 두께의 중생대 이전의 탄산염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류층은 높은 공극률을 가진 중생대부터 신생대에 퇴적된 사암과 중생대전에 균열된 탄산염암이다. 원유 트랩은 배사구조, 단층구조, 파묻혀 있는 언덕 (buried hill) 그리고 층서형 트랩 형태다. 따라서 서한만에서의 퇴적층들은 다양한 형태의 근원암을 가지며 또한 공극률과 투수율이 높고, 많은 단층에 의한 이동경로를 가지게 되므로, 사암으로 이루어진 석유 저장지만 발견하면 석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안국의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 설정 등 해양관할권 확대가 주류를 이루는 새로운 국제해양질서가 구축되고 있는 상황과 동일한 해역을 대상으로 하는 남북한 해양개발의 인접성 등을 감안할 때, 실리주의적 세계의 변화에 공동으로 대처하고 남북한 상호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해양과학기술 협력교류의 활성화와 새로운 첨단 해양기술의 공동 연구 개발 둥 남북 상호간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자세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한반도 주변해양에서 남북한 각기 독자적인 해양관리 및 해양산업의 전개보다는 양국 공동협력에 의해 주변국의 한민족 공동체가 참여하는 방안이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