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속에 나타난 북한 개성시의 자연경관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dscape of Gaesung as Reflected in the Geographical Names

  • 이영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발행 : 2006.06.01

초록

본고는 남북경제협력 사업인 개성공단 개발사업으로 남 북한 모두에게 장소의 의미가 커진 북한 개성시의 자연경관특성을 지명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의 문헌분석, 탈북자와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그리고 두 차례의 개성 현지답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명에 나타난 개성지역 산지의 특성은 산지의 구성비율이 높고 산의 형태가 둥근 모양과 삿갓 모양이 많으며, 산과 하천으로 둘러싸인 곳은 잦은 안개발생과 하천침식에 의한 돌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둘째, 지명에 나타난 개성의 하천은 모래의 양이 많고 유황이 불안정하며 일부 개풍군 및 판문군 일대의 하천은 조석의 영향을 받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 지명에 투영된 동 식물은 그 서식환경이 개성지역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넷째, 토양, 벼랑, 벌, 바위와 관련된 기타지명에서 토양 특히 붉은 토양과 관련된 지명은 개성의 북부 산지지역에 분포하고, 벼랑과 관련된 지명은 벼랑 발달의 원인이 되는 하천 연안에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평야를 의미하는 벌 관련 지명은 사천강의 지류인 서암천 연안에 분포하고, 바위 관련 지명은 산과 하천 그리고 마을이 혼재되어 있는 곳에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결론적으로 북한개성지역은 남북경제협력 사업이자 평화구축 프로젝트인 개성공단 개발사업과 개성관광사업으로 남 북한 모두에게 지역 자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하지만 개성지역이 북한 땅이기 때문에 자료접근이 어렵고 기초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개성지명에 관한 본 연구는 지역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향후 개성지역을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Gaesung city of North Korea is meaningful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Gaesung industrial complex as a peace-building project and economical cooperation work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is article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dscape of Gaesung through geographical names. This research was studied by literature analysis of North Korea, depth interview of North Korean labour and refugees, and second times fieldwork.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untain landscape of Geasung revealed on geographical names characterized mountainousness and round shape. Especially, the places where are enclosed by mountain and streams are foggy and rocky. Next the landscape of stream characterizes sandy, unstable, and tidal river. Thirdly the fauna and flora which are reflected on geographical names are hawk, snake, tiger, homed owl, snapping turtle, chestnut tree, pine tree, pear tree, zelkova tree, and willow etcetera.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habitation of these are similar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Gaesung. Besides, the geographical names related to soil distributed in northern mountain area of Geasung. The place names implicated cliff located on the riverside. In addition to this, the geographical name of 'Bul' implicated plain distributed in the riverside of 'Seoam' which a branch stream of 'Sacheo'. And the place names related rock located in place enclosed by mountain, river, and village. In cnclusion, Gaesung is more important to us as the Gaesung industrial complex and tourism development. But the fundamental research on Gaesung is a few because Gaesung belongs to North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Gaesung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길부, 1997, 땅이름 국토사랑, 집문당, 서울
  2. 국립지리원, 1981, 지도와 지명, 진명사, 서울
  3. 개풍군지 편찬위원회, 1968, 개풍군지, 정화인쇄문화사
  4. 김기빈, 1989, 한국지명의 신비, 지식산업사, 서울
  5. 김기빈, 1990, 가고픈 산하 북녘의 땅 이름, 지식산업사, 서울
  6. 김기빈, 1993, 한국의 지명유래 4-땅과 이름 그 만남의 사연들, 지식산업사, 서울
  7. 김기호, 1972, 개성구경, 대한공론사, 서울
  8. 김기혁, 2005, '일제 강점기 울릉도 고유지명의 변화,'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발표초록집
  9. 김양자, 1989, 우리나라의 고개에 관한 지리적 고찰, 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정미, 2003, 김포시 지명에 관한 지리학적 접근,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남성욱.박현선.이영희, 2004, 개성공단개발 대비 체계적 개성관광 육성방안-개성관광을 통한 남북경협차원-, 한국관광공사, 서울
  12. 남성욱.김남조.김철원.박현선.송병준.이영희.이철수.조영기, 유신코퍼레이션(주), 2005, 개성관광 종합계획, 한국관광공사, 서울
  13. 류재영, 1982, 전래지명의 연구, 원광대학교 출판국, 이리
  14. 북한대사전 편찬위원회, 1979, 북한대사전, 공산권문제연구소, 서울
  15. 북한연구소, 2003, 북한총람, 광진문화인쇄사, 서울
  16. 북한연구소, 1990, 북한민주통일운동사-함경북도, 경기.강원도미수복지구편, 대진문화사, 서울
  17. 사회과학원, 2002, 고장이름사전(황해북도, 개성시), 과학백과사전 출판사, 평양
  18. 서명인, 1998, 청원군 지명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송경록, 2000, 북한 향토사학자가 쓴 개성 이야기, 도서출판 푸른숲, 서울
  20. 오홍석, 1995, 알기 쉽게 풀어쓴 땅이름 나라얼굴, 고려원미디어, 서울
  21. 우만형, 1970, 개성, 에술춘추사, 서울
  22. 이민부.전종한, 2005, '추가령 지명의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문화역사지리, 17(1), 47-65
  23. 이영희.유신코퍼레이션(주), 2005, 개성관광종합계획, 한국관광공사, 서울
  24. 전룡철.김진석, 2002, 개성의 엣자취를 더듬어, 문학예술출판사, 평양
  25. 정관호.윤중한 共編, 1982, 전국행정구역명람, 행정출판부, 서울
  26. 정치영, 2005, '마을명 분석을 통한 마을입지 및 지역성 연구: 경기도와 함경도의 비교,' 문화역사지리, 17(2), 58-73
  27.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한국평화문제연구소, 2004, 조선향토대백과, 한국평화문제연구소, 서울
  28. 조선중앙사진선전사, 2004, 고려의 옛수도 개성, 민주조선사인쇄공장
  29. 조선중앙사진선전사, 2005, 고려박물관
  30. 지헌영, 2001, 한국지명의 제문제, 경인문화사, 서울
  31. 한국관광공사, 2004, 북한 관광자원, 웃고문화사, 서울
  32. 한재수, 2002, 황도 개경의 비밀, 옛오늘, 서울
  33. 한창균 엮음, 1996, 북한 고고학 미술사 용어집, 백산자료원, 서울
  34. 山崎駿二, 1926, 개성군면지, 개성도서관
  35. 越智唯七, 1917,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林館印刷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