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산업의 발전과 공간적 집적 특성: 새로운 부흥의 중심지로서 서울 강남지역의 등장 ?

Development of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Gangnam Region of Seoul as A New Cluster in A New Renaissance?

  • 발행 : 2006.06.01

초록

본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이 영화산업의 새로운 집적지로 등장하고 있는 현상을, 한국 영화산업의 독특한 성장과정과 최근의 부흥 특성, 관련업체와의 협력, 인력 및 계원 조달 등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업체총조사보고서를 이용한 입지변화분석과 영화제작사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인터뷰조사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의 결과, 전국 영화제작 업체의 80%가 집중해있는 서울 내에서 충무로에서 강남지역으로 대거 이동, 또는 강남지역에 새로운 업체가 신설되는 뚜렷한 현상이 발견된다. 그 집적지는 다양한 계층의 전문화된 기능과 노동시장으로 구성된 탄탄한 생산체계보다는 영화관련 인력 간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강조되는 '느슨하게 형성된 집적지'의 특성을 갖는다. 서울 강남에 영화제작업체가 집중하는 데에는 오히려 생산의 환경으로서 이곳이 제공해주는 혜택, 즉 정보 획득과 트렌드 파악의 이점, 사람들이 쉽게 만날 수 있는 다양한 공간과 분위기, 창조성과 아이디어가 배태될 수 있는 환경 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영화산업이 이렇게 특정지역을 지향하는 특성은 영화제작이 갖는 원천적 불확실성, 프로젝트 기반의 팀 운영, 영화제작세대의 차별화의식, 대기업의 참여와 자본투자의 거대화 등의 특수성과 연결하여 설명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emergence of Gangnam Region of Seoul as a new cluster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 the context of its history of growth, rece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its production system. Statistical analyses of Korean industries and in-depth interview surveys to film produc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re has been obvious tendency of film makers' move from Chungmuro, a traditional cluster of the Korean film industry, to Gangnam and many births of new film makers in Gangnam. This new cluster, however, is operating on informal networking between film makers and related personnel, not on formalized production system composed of specialized functions and labor market. Therefore, it can be called as loosely-articulated cluster. This form of cluster has much to do with production milieu of Gangnam, such as advantages of obtaining information and consumer trend, diverse atmosphere which makes it easier to meet diverse people, favorable environment to embed creativity and fresh idea, etc. This trend of the film industry to orient a specific area can be explained in conjunction with the uniqueness of the film industry, such as uncertainty, project-based work, generation gap between film makers, participation of large companies or increasing size of inves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한섭, 2003, '1999-2002년 시기의 한국영화 붐에 대한 연구,' 영화교육연구, 5, 5-26
  2. 강혜정, 2004, 소비자 공간선택의 특성: 영화관 선택을 사례로,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윈논문
  3. 고정민, 2003, '국내 영화의 메카 충무로와 강남,' 복득규등, 클러스터: 한국 산업과 지역의 생존전략, 삼성경제연구소, 서울
  4. 구문모.임상오.김재준, 2000, 문화산업의 발전 방안, 을유문화사, 서울
  5. 김미현.최영준.전범수, 2004, 한국영화산업 성장요인 분석, 영화진흥위원회
  6. 김승경, 2005, '1990년대 한국영화의 성장 배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시네마, 1, 37-71
  7. 남기범, 2003, '서울 신산업집적지 발전의 두 유형: 동대문시장과 서울벤처밸리의 산업집적,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제도화 특성에 대한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1), 45-60
  8. 남지원, 2005, '한국 영화 산업의 시장구조변화 및 정책방안 연구: 멀티플렉스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5, 123-151
  9. 노종윤, 2004, '한국영화산업이 흐름,' 한국문화경제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4
  10. 박래현, 2005, '서울시 제화산업의 집적 특성 및 혁신환경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0(6), 653-670
  11. 박철웅, 2003, '대구지역 영화문화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안,' 영화연구, 21, 79-101
  12. 삼성경제연구소, 2002, '한국 영화산업의 선순환구조와 발전전략,' Issue Paper
  13. 양영철, 2003, '부산영화산업과 영화정책에 관한 연구,' 현대사진영상학회 논문집, 6, 77-87
  14. 영화진흥위원회, 2004, 한국영화산업 규모예측과 성장요인 분석, 연구보고서
  15. 영화진흥위원회, 2005, 한국영화연감
  16. 영화진흥위원회, 2006, 2005년 한국영화산업 결산, 연구보고서
  17. 윤미은, 2002, 영화산업의 지리적 집중 및 생산연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윤용민, 2001,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발달과 입지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진, 2001, '서울시 게임산업의 집적과 학습지역 형성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37, 67-85
  20. 이대희, 2001, 문화산업론, 대영문화사, 서울
  21. 이수연, 2003, 종로 귀금속 및 보석산업의 집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22. 이영두, 2000, 문화산업 경영전략, 삶과꿈, 서울
  23. 이희연.이난경, 2005, '인터넷 영화의 유통구조와 인터넷 영화산업의 공간적 집적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1), 107-130
  24. 정이환, 2005, '한국 영화산업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 산업노동연구, 11(2), 89-118
  25. 주성재, 2004, '서울 종로 귀금속 클러스터: 단순 클러스터에서 혁신체계로의 탈바꿈?,' 서울지역혁신연구회편, 서울의 지역혁신체계 제5장, 89-104
  26. 최윤정, 2004, 영화산업의 네트워크 조직: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사 및 한국 메이저 영화사 사례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7. 통계청, 1995, 사업체총조사보고서
  28. 통계청, 2004, 사업체총조사보고서
  29. 한국문화경제학회, 2001, 문화경제학 만나기, 김영사, 서울
  30. 황주성, 2000, '강남.서초지역의 신산업지구적 성격규명을 위한 실증연구,' 지역연구, 16(1), 1-22
  31. Scott, A. J., 1984, Territorial re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in a local labor market: the animated film workers of Los Angeles,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 277-307 https://doi.org/10.1068/d020277
  32. Scott, A. J., 2000, The Cultural Economy of Cities, SAGE Publications, London
  33. Scott, A. J., 2005, On Hollywood: The Place, The Indust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4. Storper, M., 1989, The transition to flexible specialization in the US film industry: external economies, the division of labor and the crossing of industrial divides,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3, 273-305
  35. Storper, M. and Christopherson, S., 1987, Flexible specialization and regional industrial agglomerations: the case of the US motion-picture industr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7, 260-282